어떤 곳이든 그 장소만의 문화적, 역사적, 자연적 특징인 장소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설계 장소에도 이 장소이기 때문에 지어질 수 있는 건물을 설계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뒤에 산이 있는 이 대지만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를 하였다. 건물이 자연스럽게 산에 녹아드는 형태를 만들었고, 산 혹은 자연과 인접한 특성을 살려 프로그램 중 하나를 도시농원으로 넣었다.
전농동은 큰 학군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서울의 다른 지역에 비해 문화시설이 현저히 부족하다. 그렇기에 이 성당의 2층을 갤러리로 활용하여 문화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많은 예술작품들이 종교인에 의해 생산된 경우가 많았고, 뿐만 아니라 주민들 작품도 전시하여 함께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두 번째 프로그램은 도시 농원인데, 위에서 말했든 이 사이트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 생각했다. 또한, 종교시설의 경우 정해진 주일에 사람들이 방문을 하는데, 작물을 가꾸기 위해서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므로 이 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건물을 총 3가지로 나눈 것은 건물의 용도(혹은 사용자)에 따른 것이다. 가장 북쪽에 위치한 건물은 사제들이 주로 사용하는 건물로 고해성사실과 사제실이 있으며, 입구와 가장 먼 곳에 있다. 중간에 위치한 건물은 예배당이 있는 곳으로 목회자들과 신도들이 기도를 드리는 곳이다. 도로와 가장 인접한 곳의 건물은 화장실과 편의 시설 그리고 예배당으로 가는 동선 역할을 한다.
빛의 효과를 통해 성당의 신성한 분위기를 나타내려고 했다. 중간 건물에서 전면에 있는 창은 십자가 모양으로 조명의 역할보다는 성당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다. 건물 좌우의 측창에서는 하늘에서 쏟아지는 듯한 형태의 빛이 떨어지고 있고, 내부에는 별도의 조명을 설치하지 않아 그 효과를 극대화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배영랑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