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ardo Soute De Moura의 House in moledo를 선정해 추상화를 진행했다.
동선, 자연과의 조화, 빛을 주제로 다이어그램을 제작하고 스터디를 진행했다. 공용공간인 복도에서 각 방으로 들어가는 경로와 경우의 수를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했다. House in moledo의 동쪽에 위치한 숲과 서쪽에 위치한 대서양을 간단히 나타내보고 복잡성에서 단순성으로 가는 그라데이션의 개념을 도출해냈다. 자연에 순응하고 스며들어있다는 것을 콘크리트의 연장선으로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이를 스터디 모형으로 나타내보았다. House in moledo의 동서쪽으로 난 통창으로 들어오는 빛의 길이와 시간을 조사해보고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보았다.
House in moledo가 대서양을 사유하고 있다면, 재해석한 나의 House in moledo는 돌담과 숲을 사유하고 있다. 이는 기존보다 개인적인 공간을 만들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한다. 돌담의 인상적인 풍경을 사유하기 위해 침실 중 한개는 가로로 넓게 해 사용자가 한편의 풍경화를 보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했다.
지금까지의 스터디를 바탕으로 기존 House in moledo의 추상 모형과 재해석한 House in moledo의 추상 모형을 최종적으로 도출했다.
복잡성에서 단순성으로의 그라데이션을 재료의 밀도로 표현했다. 복잡성이 높은 동쪽은 밀도 높은 알루미늄 판으로, 서쪽으로는 점점 밀도가 낮아지도록 방충망과 철조망으로 표현했다. 회색 재료로 한 이유는 동쪽에 돌담이 있어 회색이 가장 상징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뜻한 색의 나무 막대로 빛이 들어오는 길이를 나타내고, 일조량에 따라 막대의 길이도 다르게 표현했다. 계단식 테라스와 바다로 이어진 콘크리트의 연장선은 사용자의 시야가 아래로 확장됨을 의미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도현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