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er House 피셔하우스를 공부하기 위해 피셔하우스를 설계한 루이스칸에 대한 스터디를 선행하였다. 루이스칸의 건축철학을 스터디하며, 느슨한 경계에 대한 키워드를 알아낼 수 있었다. 피셔하우스를 살펴보며 건물에서 느슨한 경계의 개념을 디자인으로 구성한 4가지 부분을 발견 할 수 있었다.
1. 끊기지 않는 흐름 2. 공공 공간과 사적 공간의 분리 3. 빛을 통한 경계 4. 입체 창문
1. 끊기지 않는 흐름 난로와 부엌 벽에 의해 시야가 차단 되지만, 천장 끝까지 이어지지 않은 부엌의 벽은 부엌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정보를 거실에 전달해줄 수 있다. 벽을 통해 경계를 만들지만, 결코 차단되어 있지 않은 느슨한 경계의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2. 공공 공간과 사적 공간의 분리 피셔하우스에서 공공 공간이 거실, 부엌같은 공간과 사적공간인 침실 공간은 철저하게 분리되어있다. 어디서 느슨한 경계를 느낄 수 있을까? 공공 공간에서 사적 공간으로 가는 길을 통해 느슨한 경계를 느낄 수 있다. 두 공간이 벽으로 바로 막혀있는 것이 아닌 복도와 계단을 통해 점진적으로 연결되어있다.
3. 빛을 통한 느슨한 경계 빛의 그림자를 통해 방의 분위기와 성격을 보여주기 하며, 그림자와 빛의 대비는 경계를 만든다.
4. 입체 창문을 통한 느슨한 경계 입체창문의 구성요소가 느슨한 경계를 정말 잘 표현하고 있다. 빛을 받아들이는 창문. 밖을 바라보며, 바람을 조절해 밖에 있는 듯한 인상을 주는 장치. 밖을 보는 창의 깊고 좁은 프레임으로 인해 경계를 느끼며 밖과 연결되는 장치. 하나하나 세심하게 만들었다는 인상이 들었다.
그래서 모든 느슨한 경계의 요소들을 다 할 수 없으니, 가장 인상깊었던 입체 창문에 더 깊이 파고 들었다. 피셔하우스에 있는 창문의 요소를 분리하고, 스케일 바꾸며, 연결해보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스케일에서 빛이 어떤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홍원준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