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 건물을 볼 때 도면을 접할 일은 많이 없기도 하고 도면이 있더라도 그리 유심히 볼 기회는 없었는데 이번 손으로 도면을 작도하는 과제를 통해 처음으로 건물과 도면을 함께 눈으로 담을 수 있었다. 이론적으로 알고 있던 평면도와 단면도를 직접 손으로 또 도서관을 답사하며 몸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도면 작도를 마치고 같은 설계실의 학우들과 1:30 모형을 만들었다. 처음 시작할 때 모형 제작을 위한 입면 도면을 작성하고 폼보드를 잘라 붙였다. 그 다음 가구를 만들어 마무리했다. 모형을 제작하며 학우들끼리 의견을 공유하며 여러 모형 제작 방법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실제 크기로 바닥에 도면을 그리는 1:1 작도를 했다. 크기가 크고 팽팽하게 늘려 놓았던 천이 느슨하게 풀어짐에 따라 붙여 놓은 테이프 선이 휘어 정교하게 만들기 어려웠다. 그 때 교수님들께서 실무 현장에서도 기온에 따른 측정 차이도 생기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도 완전 정교하게 맞기는 힘들다고 말씀해 주셔서 다행이었다. 그리고 현장에서 완벽하게 시공할 수 없기에 도면을 작성할 때에도 두 독립적인 물체를 조금은 띄워서 배치해야 시공에 좋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 과제를 통해서 내 손 안에서의 아이디어와 도면에서 나아가 실시에 관한 내용을 탐구할 수 있었다.
동시에, 다양한 건물들을 답사하기 위해 서울 곳곳을 돌아다녔다. 가장 먼저 윤동주문학관을 지나 인왕산숲속쉼터로 갔다. 비가 와서 어둑한 분위기에 쉼터는 더욱 밝아 보였다. 안에서 밖을 바라봤을 때 아늑한 분위기와 나무 사이 깔린 짙은 안개가 환상적이고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답답함 없는 나무로 된 내부 공간과 건물 외벽의 통창이 자연과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들어 멍하니 바깥을 쳐다보며 휴식을 취하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토머스 헤더윅은 ‘감정은 중요한 기능이다(human emotion is a critical function)’ 라고 표현한다.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말인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follows function)’를 비판하며 더 인간다운 건축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말이다. 윤동주문학관과 인왕산 숲속 쉼터, 윤슬,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에서도 내가 느꼈던 것은 단지 기능적인 감상이 아니라 인간적인 감정이었다. 그곳에서 나는 편안하고 긍정적인 감정들과 함께 공간에 대한 기억을 남겼다.
서소문 성지 역사박물관
숨쉬는 그물
윤슬: 서울을 비추는 만리동
[참고자료] Thomas Heatherwick, Humanise, Penguin Books, 2023.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김민재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