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ay Title : The plan is generator ?
과제 3 전 과정을 진행하며, 평면과 공간에 대해 깊게 학습했고, 그에 연쇄되는 재료, 설계의도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었다. 이런 학습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The plan is generator?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2차원과 3차원을 보고, 겪으며 도면과 공간에 대해 고민했던, 나의 과제3 과정을 이 에세이에 녹였다.
우리 스튜디오는 모델을 만들기 전, 연습 도면을 미리 작성했다.
연습 도면을 그린 후, 모델 제작 과정에서 디테일한 사진(아래)이 더 필요해 한 번 더 도서관을
방문했는데, 그 과정에서 도면을 안 그렸을 때는 몰랐던 공간과 재료의 특징, 1:100 도면과 실
제 공간의 스케일 등에 대해 몸으로 느끼며 평면의 장점에 대해 깨달은 반면, 동시에 지붕, 벽과
같은 입체 공간에서 평면의 한계를 깨닫는, 복합적인 경험을 했다.
이런 경험은 상당히 유의미했다. 실제 크기와 도면상 크기에 대한 감과 다양한 재료, 물성에 대한 깨달음 등은 이후 답사에서 공간을 보는 관점을 크게 변화시켰으며, 평면의 한계에 대한 생각은 이후 어떻게 하면 2차원 도면에 입체 공간을 더 잘 표현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다.
답사)
각 공간의 평면도를 미리 보고 갔기에, 확실히 한 공간을 방문했을 때의 보고 느끼는 깨달음이 많았다. 또한 여러 재료를 직접 손으로 만지고 길이를 재는 등 2차원적 평면에서 벗어나 실제 공간을 느끼고, 이후 다시 평면도를 보며 각 공간이 평면도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공간을 상상하고 도면에 덮입히는 등 여러 방면에서 배우기 위해 노력했다.
1 - 윤동주 문학관
평면상 3개 매스로 구성된 구별된 공간과 의도된 시퀸스, 각 공간의 재료의 차이가 인상적이였다.
특히 비가 오는 날 갔기에, 의도적인 시퀸스와 각 매스의 물성들이 더더욱 잘 느껴졌다.
2- 숨쉬는 그물
평면도를 찾지 못해 그냥 갔지만, 오히려 공간 자체에 집중할 수 있었다. 일부러 큰 소리를 내며 걸었는데, 그 과정에서 나무라는 재료가 주는 울림, 잔향감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3- 서소문성지
크기가 크기인 만큼, 개성적인 각 공간과 각 공간의 연결 시퀸스(특히 빛) 등 모두 볼 것이 많았다. 다만 굉장히 입체적인 공간인 만큼, 평면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는 느낌이 있었다. 입면-단면도에 대한 필요성을 몸으로 느꼈던 답사였다.
내 한뼘 길이는 230(mm)인데, 뭔가 도면을 한 번 그리고 나니.. 궁금해져서 답사 공간마다 손을 들이댔던 것 같다. 도면에서의 벽돌과 진짜 벽돌, 확실히 스케일감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
1:1 드로잉
답사를 다니고, 도면을 그리며 배운 지식을 더 많이, 압축해서 배울 수 있었다. 도면과 모델에서 배운 실제 공간, 도면, 모델 간의 스케일감, 답사를 다니며 배웠던 다양한 재료 물성에 대한 이해와 건축가의 의도 파악 외에도 실제 시공에 대한 지식까지.. 굉장히 재밌고, 의미있었다.
최근 배우고 느낀 지식과 경험을 텍스트를 읽으며 특히 실감했던 것 같다.
경험 전 후, 한 페이지에서 얻는 정보의 차이가 극심하게 달랐다.
2차원에서 3차원을 상상하는 능력 뿐 아니라(사진 1,2), 평면을 통해 건축가의 의도를 읽고, 파악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사진 3,4)
도면, 모델 그리고 1:1 drawing, 과제 3의 전체가 3차원 공간을 읽고, 2차원에 표현하는 능력, 역으로 2차원을 읽고 공간을 그리게 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에 큰 도움을 주었다.
-1) 건축학개론에서 배운 르 코르뷔지예의 ‘The plan is generator.’를 살짝 변형해서 사용했다.
-2) 평면도의 출처
윤동주문학관 | 건축상 | 건축자산 | 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AURUM)
-3) 평면도, 입면도, 패널의 출처
역사적 사건의 회상을 유도하는 공간,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 아트렉처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 브리크매거진 - BRIQUE MAGAZINE
-4) 야마모토 리켄, 탈 주택, 2025 발행, pp104-105, 107, 126-127,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