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3을 부여받고 가장 먼저 배봉산숲속도서관에 방문하였다. 도서관의 도면을 그려보기 전에 직접 도서관에 방문을 해 가구들이 어떻게 배치 되어있고, 벽의 길이나 높이 등을 치수로 재기 위해서였다. 이외에도 ‘왜 창문을 그쪽에 배치했을까?’ 라는 스스로의 질문에 ‘인파가 많은 정오 쯤에 햇빛이 잘 들어오게끔 유도를 한 것일 것이다.’ 라고 답을 해보는 등, 도서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는 마음가짐으로 다녀왔다. 도서관 답사 중, 미리 받은 도서관 도면을 보면서 도서관을 관찰하니 선의 두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점선은 무엇을 표현하는지 등 도면을 이해하는데 에도 도움이 됐다. 그렇게 답사가 끝나고 본격적으로 도면 작도를 시작했다. 처음부터 쉽지 않았다. 우리 스튜디오 사람들 모두 스케일 자의 사용법 및 이해하는 데에 애를 먹었었다. 1/150 스케일에서 1/100스케일로 변환할 때, 어떻게 변환하는지를 두고 스튜디오 사람들끼리 열띤 토론을 한 후에 방법을 정립했다. 이렇게 집단지성으로 어려움을 극복해 나갔다. 확실히 도서관 답사가 도면을 그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됐던 것 같다. 도면의 각기 다른 선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서 그리니 한 층 더 즐겁게 도면을 그릴 수 있었던 것 같다. 도면을 그리면서 1/30 스케일의 도서관 모형을 제작하는 과제도 같이 이행했다. 모형 제작에 있어서, 역할 분담을 체계적으로 하고, 모두가 시간을 맞추어 줬기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내가 맡은 부분은 지붕 및 사이트와 가구 제작이었다. 이 도서관의 지붕은 일반적인 지붕과 달리 특이한 구조였기에 제작하는 시간이 조금 걸렸지만 성공적으로 제작을 완료했다. 모형이 완성되고 나고 보니 1/150 도면에선 느낄 수 없었던 외장재를 포함한 벽의 두께를 실감할 수 있었다. 또 완성된 모형을 보니 뿌듯한 감정이 들었다. 하지만 도면 상에서 보이는 선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없었기에 나중에 있을 1/1 도면 제작 활동이 더욱 기다려졌다. 그렇게 1/100 도면 작도, 1/30 모형제작 활동을 마치고 1/1 도면 제작활동에 들어섰다. 이 활동은 모든 동기들과 함께 하는 활동이었다. 도서관을 네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스튜디오별로 제작을 했다. 확실히 1/1 도면이기 때문에 도면의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때문에 ‘튀어나온 부분은 왜 그렇게 의도했을까?’, ‘왜 이런 재료를 사용했을까?’ 와 같은 의문들이 생겨났고, 스스로 생각을 하면서 건축설계의 견해를 넓혀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