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3을 부여받고 가장 먼저 배봉산숲속도서관에 방문하였다. 도서관의 도면을 그려보기 전에 직접 도서관에 방문을 해 가구들이 어떻게 배치 되어있고, 벽의 길이나 높이 등을 치수로 재기 위해서였다. 이외에도 ‘왜 창문을 그쪽에 배치했을까?’ 라는 스스로의 질문에 ‘인파가 많은 정오 쯤에 햇빛이 잘 들어오게끔 유도를 한 것일 것이다.’ 라고 답을 해보는 등, 도서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는 마음가짐으로 다녀왔다. 도서관 답사 중, 미리 받은 도서관 도면을 보면서 도서관을 관찰하니 선의 두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점선은 무엇을 표현하는지 등 도면을 이해하는데 에도 도움이 됐다. 그렇게 답사가 끝나고 본격적으로 도면 작도를 시작했다. 처음부터 쉽지 않았다. 우리 스튜디오 사람들 모두 스케일 자의 사용법 및 이해하는 데에 애를 먹었었다. 1/150 스케일에서 1/100스케일로 변환할 때, 어떻게 변환하는지를 두고 스튜디오 사람들끼리 열띤 토론을 한 후에 방법을 정립했다. 이렇게 집단지성으로 어려움을 극복해 나갔다. 확실히 도서관 답사가 도면을 그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됐던 것 같다. 도면의 각기 다른 선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서 그리니 한 층 더 즐겁게 도면을 그릴 수 있었던 것 같다. 도면을 그리면서 1/30 스케일의 도서관 모형을 제작하는 과제도 같이 이행했다. 모형 제작에 있어서, 역할 분담을 체계적으로 하고, 모두가 시간을 맞추어 줬기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내가 맡은 부분은 지붕 및 사이트와 가구 제작이었다. 이 도서관의 지붕은 일반적인 지붕과 달리 특이한 구조였기에 제작하는 시간이 조금 걸렸지만 성공적으로 제작을 완료했다. 모형이 완성되고 나고 보니 1/150 도면에선 느낄 수 없었던 외장재를 포함한 벽의 두께를 실감할 수 있었다. 또 완성된 모형을 보니 뿌듯한 감정이 들었다. 하지만 도면 상에서 보이는 선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없었기에 나중에 있을 1/1 도면 제작 활동이 더욱 기다려졌다. 그렇게 1/100 도면 작도, 1/30 모형제작 활동을 마치고 1/1 도면 제작활동에 들어섰다. 이 활동은 모든 동기들과 함께 하는 활동이었다. 도서관을 네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스튜디오별로 제작을 했다. 확실히 1/1 도면이기 때문에 도면의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때문에 ‘튀어나온 부분은 왜 그렇게 의도했을까?’, ‘왜 이런 재료를 사용했을까?’ 와 같은 의문들이 생겨났고, 스스로 생각을 하면서 건축설계의 견해를 넓혀 나갔다.
연휴 때 답사를 다닌 장소들 중,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이 가장 인상깊었다. 답사하며 이 건축가의 의도 및 어떤 생각으로 건축했는지를 생각했다. 박물관의 첫인상은 거대한 스케일과 색상의 조합으로 분위기를 압도하며 신성한 느낌이 났다. 아무래도 역사박물관이다보니 사람들에게 역사의 중요성과 위대함, 그리고 지하를 통해서 현실과 구분된 역사속으로 들어가는 느낌을 주기s 위해 설계를 했던 것 같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김성주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