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프로젝트는
공연이 끝난 후에도 사라지지 않는 무대에 대한 이야기에서 출발했다. 저는 뮤지컬 무대 세트를 ‘하나의 예술적 결과물’로 보고,
그 무대를 보존하고 전시할 수 있는 공간,
그리고 건축이 무대를 품는 방식에 대해 고민했다.
뮤지컬은 그 순간의 예술일 뿐만 아니라 무대가 끝난 후에 남는 뮤지컬의 무대 세트 또한 예술 작품이라고 인식했고 이들을 전시하여 다시 생명을 불어 넣는 공간으로서 대학로의 중소극장 뮤지컬 무대의 플랫폼으로서의 갤러리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건물 외형은 블랙 콘크리트를 사용한 박스형 매스로,
 뮤지컬 무대 뒤편의 블랙박스를 연상시키며,
내부의 극적 체험을 외부에서도 암시하도록 했다. 측면에는 4미터 폭, 12미터 길이의 통창이 하나 있으며,
이는 무대 자체를 직접 보여주진 않지만
외부 공간과 내부의 긴장감을 연결하는 장치 역할을 하며 검정색 정제된 박스에 유리박스가 박힌 듯한 모습을 연출한다.
기존의 뮤지컬 관객들은 무대라는 프레임 속에 들어있는 2D적인 무대를 바라보는 정적인 관객이었지만 이 갤러리의 흐름을 따라가다보면 처음에는 관람하는 관객에서부터 시작하여 무대 속에 들어가보고 마지막엔 무대 장치들을 볼 수 있는 6m 위에있는 캣워크를 통해 전시를 마치는 경험을 제공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유예서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