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된 축들 중, 포치-뒷마당을 잇는 축은 void로 뚫어 야외 광장을 조성/ 나머지 축들은 solid로 매싱. 매싱을 할 때에 각기 다른 매스임을 부각시키는 장치로써 다양한 층고와 재료의 대비를 사용했다. LAMP와 SKIP FLOOR를 활용하여 구현했다.
진입 방향에 따른 4개의 입면 파노라마 기존 건물들과 관입된 매스들의 다양한 모습들을 볼 수 있다.
각 매스별 PROGRAM과 SLAB LEVEL을 표현한 다이어그램. 같은 성격의 프로그램들을 패턴으로 표현했다. 다이어그램에서 보여지듯이, 다양한 층고와 프로그램을 기존 건물이 중심에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1ST FLOOR+SITE PLAN SITE PLAN 설계에서, 진입하는 곳/ 산책하는 곳/ 바라보는 곳/ 파빌리온 전시공간 등으로 나누어 구획하였다. 진입동선에는 페이빙을 강조해 설계하였다.
떠있는 매스와 램프 매스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철골 구조와 트러스를 사용해 구조를 풀었다. 기존 건물에 의존하지 않고, 각각 매스들이 독자적인 구조 시스템을 가지고 결합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임경률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