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는 통의동 70으로,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맥락을 지니고 있다. 이에, 공예가들의 작업과 전시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만들어보고자 했다. 통의동 70은 오래된 골목길과 현대적인 갤러리,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들이 혼재하는 지역으로, 유동 인구가 활발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해서, 공예가들의 작업을 보다 가까이서 경험하고 결과물을 자연스럽게 감상할 수 있는 구조의 프로그램을 구상해보고자 했다.
1층은 대로변과 직접 접하고 있는 입지적 특성을 반영해서 접근성과 개방감을 우선시한 ㄱ자형 매스로 계획하였다. 진입이 용이한 북카페와 로비를 배치하고, 중정을 중심으로 내부 공간이 감싸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동선을 유도했다. 이어지는 외부 계단은 하나의 독립된 매스로 2층과 직접 연결되며, 전체 건물의 흐름을 ㄷ자 형태로 만들고 있다. 2층에는 네 명의 전통 공예 작가들을 위한 작업실과 전시 공간이 함께 구성되어 있다. 전시실은 통창을 통해서 시각적인 개방감을 확보하고, 작업과 전시의 경계를 유연하게 흐리며 관람객이 제작 과정을 일부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반원형 외부 계단을 통해서 3층으로 이어지는 동선은, 공간 경험의 다양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3층은 본격적인 전시 공간으로, 전시실과 외부 테라스를 나란히 배치하여 휴식과 관람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최상층 4층은, 입주 공예가들을 위한 레지던시 공간으로, 도로 쪽에는 주방과 다아닝 등 공용 공간을, 보다 조용한 반대쪽에는 개인 침실과 공간을 배치하였다. 공용과 개인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복도는 외부 캐노피가 설치된 데크 공간으로 계획되어, 단순한 동선이 아니라 하나의 외부 공유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공간은 공예를 전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작가와 관람객 간의 경계를 허물고 교류가 가능한 구조를 구성해보려고 하였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여채현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