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계획은 건축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열린 건축 뮤지엄 및 아카이브를 목표로 하며, 대학로의 중심 광장 역할을 하는 마로니에 공원의 공간성을 확장하기 위해 ‘어반 루프’를 도입하였다. 도시적 스케일의 루프는 보행 흐름을 흡수하고, 다양한 공공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여유 공간으로 작동한다.
DIAGRAM SITE / MASS PROCESS / PROGRAM / BINDING PLAN / MASS COLUMN
대학로는 과거 서울대학교가 위치했던 터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현재도 대학 밀집 지역과 활발한 문화예술 활동으로 인해 높은 유동인구를 유지하고 있다. 이 지역은 혜화역에서 이화사거리까지 이어지는 직선형 보행축을 중심으로 흐름이 형성되며, 그 시작점이자 중심에는 마로니에 공원이 위치한다. 공원은 열린 광장의 성격을 가지며 대학로를 방문하는 이들의 주요 진입점으로 기능하지만, 인접한 ‘예술가의 집’은 담장과 조경에 의해 시각적·동선적으로 단절되어 있어, 공간 경험의 연속성을 저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계획은 건축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열린 건축 뮤지엄 및 아카이브를 목표로 하며, 대학로의 중심 광장 역할을 하는 마로니에 공원의 공간성을 확장하기 위해 ‘어반 루프’를 도입하였다. 도시적 스케일의 루프는 보행 흐름을 흡수하고, 다양한 공공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여유 공간으로 작동한다. 예술가의 집은 가로로 긴 선형 매스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후면부를 해체하여 보행축과 공간 흐름을 더욱 명확히 했다. 과거부터 상징적 진입부로 기능해온 전면 포치는 메인 시퀀스로 보존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좌측 매스를 확장하여 전시 공간을 확보하였다. 상부에는 선형 테라스를 삽입하여 마로니에 공원과의 시각적·동선적 연결을 강화하였고, 기존 건물 위로는 어반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 위에 추가적인 선형 매스를 배치하여 상부 공간을 구성하였다. 동시에 구조적 보강을 위해 매스감 있는 기둥을 도입하였다. 기존 건물의 메인 시퀀스는 최대한 보존되었다. 전면 포치와 수직동선을 유지하여 공간의 연속성과 장소성을 이어가며, 후면 증축부는 기능 중심의 구성에 따라 해체 및 재구성되었다. 새로운 프로그램 배치를 위해 선형 매스를 세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전시·아카이브·퍼블릭 프로그램이 각 구역에 배치되었다. 전시 동선은 1층에서 시작하여 2층, 3층을 거쳐 최종적으로 3층 테라스로 마무리되며, 루프 위 4층은 건축 관련 작품전과 강연, 크리틱이 가능한 다목적실로 구성된다. 도입된 매스 기둥은 단순한 구조 부재가 아닌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각 기둥은 전시실, 기념품 샵, 엘리베이터, 미디어 월, 설비실 등으로 활용되며, 구조적 역할과 공간적 경험을 동시에 제공한다.
DETAIL SECTION & ELEVATION / STRUCTURE SYSTEM
재료 계획은 기존 건물의 벽돌 타일과 화강암 마감을 보존하여 과거의 건축적 얼굴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며, 증축부에는 노출 콘크리트와 커튼월을 적용하여 현대적인 재료와의 대비를 통해 시간의 공존을 공간적으로 드러냈다. 루프 위 4층 증축부는 철골 구조로 계획되었고, 기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강이 이루어졌다. 또한 기존 건물부에는 단열재가 추가되어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켰다. 어반 루프는 사이트 대부분을 덮으며, 커다란 열린 광장을 형성한다. 루프는 건물의 전 방향으로 열려 있어 마로니에 공원의 흐름을 다방향으로 연장시킨다. 구조적으로는 H-beam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였으며, 하부는 알루미늄 패널과 유리 패널을 통해 솔리드와 보이드가 공존하는 구조를 갖춘다. 상부에는 보행이 가능한 나무 데크와 함께 태양광 패널이 포함되어 기능적·환경적 역할을 수행한다.
DRAWING
1/20 INTERIOR MODEL
본 계획은 기존 건축의 보존과 현대적 증축이 공존하는 구조를 통해, 누구나 건축을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대학로의 새로운 공공 거점이자 열린 쉼터로 기능하고자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윤석진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