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설계 사이트는 서촌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의동 70이다. 사이트 면적은 약 980㎡이며, 건폐율 60%, 용적률 200%이다. 설계는 갤러리 및 레지던시를 설계하는 것이었다. 위 Site Analysis는 사이트 주변 건물들의 층수를 각기 다른 채도를 입혀서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 것이다. 서촌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라 서촌에 대해서 분석을 하였는데 서촌은 한옥,골목,장인,공예 예술가의 작업실이 떠오르는 공간이었다. 현대적 갤러리들도 많아졌지만 여전히‘생활과 전통이 공존하는 감성적 지역'이 서촌의 대표적 이미지였다. 유동인구를 살펴보면 관광객,현지인,예술품을 보는 관객으로 이루어져있다. 즉 경계적이 콘텐츠가 빛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전시하고 싶은 것은 생활품으로 만든 공예. 즉 도자기. 그중에서도 백자를 전시하고 싶었다. 백자는 서촌의 장인 정신과 건축 조형성이 교차되는 지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설계에 앞서, 나는 리움 미술관 M2 (장누벨 설계)를 레퍼런스로 잡고 설계를 진행하였다. 관입을 이용한 건축물이었는데, 이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면 재미가 없을 것 같아 생각을 변형하여서 설계를 진행하였다. 관입을 변형하여 매스가 보이드에 관입하고, 보이드가 매스에 관입하면 어떨까 생각하였다.
일단 매스 프로세스에서 관입의 개념을 이용하여 매스를 배치하였다. 위에 프로세스 순서처럼 진행되었는데, 1번째 이미지는 z축으로의 매스의 관입으로 봐도 무관하다. 즉 x,y,z축으로 모든 매스가 관입하는 것을 의도로 두고 설계를 진행하였다. 가장 상단 매스가 부드럽게 변형되었는데, 흙을 깎는 손짓에서 따와서 부드러운 곡선의 변형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즉 도자기를 빗는 모습을 형상화하고자 하여 건물 전체의 모습에서도 도자기를 전시하는 것과 연계되게끔 매스를 변형하였다.
매스에서 공간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로 관입에서 참고하여서 배치하였다. 가운데 공간을 카페, 카페 왼쪽을 전시, 오른쪽을 레지던시로 구성하였다. 모두 분할한 이유는 지구과학에서 따왔는데, 관입암과 포획암이라고 생각을 하였고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각각의 매스의 특징이라고 생각하였다. 여기서 포획암은 테라스 와 썬큰 광장과 카페 옆 보이드, 즉 자연이라고 생각했다.
지하 1층에서는 창고와 오피스를 설치하여 전시 공간보다는 사무적 공간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선큰 광장과 카페를 두어 열린 광장의 느낌을 주고자 하였다.
카페는 전시와 레지던시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둘을 이어주는 매개체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1층에서 브릿지를 설치하여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전시는 라운지부터 시작하여 전시 공간 1번을 보고 올라가도록 만들었다. 또한 최대한 유리창을 많이 두어 열린 느낌과 밝은 전시를 할 수 있게끔 하였다. 또한 2층 매스가 떠있는 듯한 느낌을 주고자함도 있었다. 레지던시 쪽에서는 1층에 거실과 공용 주방을 두어서 다같이 생활하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1층 전시를 본 뒤 2층에서 3개의 전시를 동선 하나로 크게 본뒤 3층으로 올라갈 수 있게 하였다. 레지던시 2층은 주거하는 사람들 개개인의 방과 화장실을 두어서 생활하게끔 하였고 공동 작업실을 두어 작업을 할 수 있게끔 만들었다. 양쪽 모두 밑 유리창을 안으로 조금 setback시켜서 설치하여 보이드가 관입한 느낌을 주고자하였다.
3층 전시로 올라오면 큰 창을 통해 바로 밖을 볼 수 있게끔 설계하였고, 경사로를 통해 점차 올라가면서 전시를 볼 수 있게끔 하였다. 또한 계단에서 올라오자마자 보이는 유리창을 2층과 마찬가지로 뒤로 살짝 밀어서 같은 느낌을 주고자 하였다. 레지던시쪽은 테라스를 설치하였고, 일부분은 풀을 심어 조경을 주었다. 이때도 가장 메인이 되는 상단 매스의 곡선을 오마주하여 조경 공간을 주었다.
마지막 4층에서는 경사로를 통해 올라온 관람객들이 마지막 전시공간을 구경할 수 있게 만들었고, 테라스로도 갈 수 있게 만들었다. 3층에서 큰 유리창이 4층에서도 연속적으로 올라와서 라운지에서 같은 뷰를 볼 수 있게 하였고, 테라스 쪽은 반대 방향으로 경복궁을 내려다 볼 수 있게 만들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신지성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