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전 과제에서 나의 생각을 평면으로 표현하는 것에 한계를 느꼈다. 팽이버섯이라는 대상에 대해 관찰하고, 특성을 찾아가면서 많은 것들을 발견했다. 그 많은 특성들 속에서 내가 주목한 특성은 바로 유연성과 강성이었다. 처음 팽이버섯을 관찰할 땐 강성이 느껴졌다. 관찰하며 이곳저곳 만져보았지만 쉽게 휘거나 꺾이지 않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갈수록 팽이버섯은 강성을 잃어버렸다. 강성이라는 특성이 유연성이라는 특성으로 대체되었다. 여기서 의문점이 들었다. 왜 팽이버섯은 시간이 지나면 강성을 잃어버리는 것일까?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팽이버섯이 강성을 잃어버리게 된다는 것을 다시 말해 시간을 멈추면 팽이버섯은 항상 강성을 가진다는 뜻으로 나에게 해석되었다. 우리가 보는 이 세계는 어쩌면 멈춘 시간들의 연속이지 않을까? 라고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난 강성을 무한하게 가진 팽이버섯을 생각했다.
팽이버섯의 강성을 표현한 후, 다른 특성인 섬유질에 집중하였다. 팽이버섯은 서로 얽혀있어서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찾기 힘들다. 팽이버섯을 다방면에서 바라보며 강성과 섬유질이라는 특성을 활용해 아래와 같은 그림을 그려냈다.
위에서 보았을 땐 입체적이지 않아보이지만,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어떤 모습을 할까? 고민을 하게 되었다. 여기서 섬유질이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서로 얽힌 모습을 표현해볼 수 있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강성이 있는 팽이버섯을 표현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단위체를 만들었고, 작은 부분들이 모여 하나의 큰 매스를 만들어보았다.
이 작품에서 내가 의도한 점은 밀도와 덩어리이다. 팽이버섯을 관찰하면서 아래 쪽은 작은 팽이버섯들이 밀도 있게 많이 모여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위로 갈수록 그 밀도가 작아지면서 팽이버섯 하나하나의 크기는 점점 커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점을 단위체의 형태에 변화를 주며 아래는 작은 단위체들로 밀도있게 구성을 하였고, 위에는 큰 단위체들로 공간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는 팽이버섯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많이 생각을 해보았었다. 누구는 작은 팽이버섯 한 가닥이 팽이버섯이라고 할 수 있고, 다른 누구는 큰 덩어리의 팽이버섯이 하나의 팽이버섯이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난 작은 팽이버섯들이 여럿모여 하나의 팽이버섯을 이룬다는 점에 집중하였다. 작은 덩어리들이 모여 하나의 매스를 만드는 것을 내가 해석한 방식으로 표현을 해보았다. 이번 과제는 나에게 생각하는 실현하는 법을 알려주는 과제였다고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있다. 내가 한 행동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해서 타당하게 만드는 과정이 바로 생각하는 과정이라고 느꼈고, 관찰과 표현에서 생각한 것을 조형과 이미지라는 페이지에서 표현할 수 있었다는 점이 생각에서만 머물지 않고 머리 속에서 꺼내는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송승현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