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2차 과제에서는 회화를 전시하는 전시장과 회화를 그리는 4명의 화가가 살 수 있는 레지던시를 합한 아티스트 레지던시를 설계하고자 했다. 전시장 내부는 어둡게 하여 은은한 조명을 통해 그림에 몰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사이트가 위치해 있는 통의동을 피겨 그라운드 맵으로 표현한 결과 건물들의 밀집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내가 설계할 미술관이 조금은 답답한 느낌을 해소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평면적 사선 및 수직적 사선이 이루는 솔리드와 그 솔리드 군데군데 드러나는 큰 보이드가 내가 설계한 미술관의 핵심 개념이다. 전시장은 내부 보이드로 구성된 부피감이 큰 공간이며 레지던시는 수직적 사선으로 절단된 공간이다.
컨셉 다이어그램을 보면 회색은 솔리드, 흰색은 보이드를 뜻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사이트 자체를 보이드와 솔리드가 구성하는 일련의 레이어를 구획한 것에서 시작하여 북쪽에 축이 될 수 있는 솔리드를 재구획한 뒤 보이드의 구성을 내부 보이드와 외부 보이드로 나누어 결국 솔리드와 보이드의 레이어 개념을 유지하되, 이를 긴 솔리드가 연결짓는 형태로 발전시켰다.
솔리드를 이루는 매스는 긴 직육면체와 'ㄱ'자 매스로 나뉜다. 보이드를 구성하는 매스는 수평적 45도로 돌아간 뒤 내부 보이드 공간의 경계로 절삭된 매스와 외부 보이드를 구성하는 수직적 사선으로 절삭된 매스로 나뉜다. 솔리드를 구성하는 매스와 보이드를 구성하는 매스가 잘 맞물려 공간을 형성한다.
내 미술관의 또다른 특징 중 하나가 전시장의 내부 보이드를 경계짓는 큰 통창과 천창이다. 전시장의 서측, 남측, 동측으로 큰 통창이 뚫려있으며 천창은 조금 더 돌출되어 입체감을 형성한다.
1층 평면도이다. 먼저 전시장 공간의 코어는 북서측의 엘리베이터 및 계단, 아트리움 내 계단으로 나뉘며 레지던시 공간의 코어는 북동측의 계단으로 나뉜다. 1층 전시장 공간에는 출입이 이루어지는 주출입구, 전시가 이루어지는 큰 아트리움 공간, 그곳에 위치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공용 화장실 및 장애인 화장실이 위치해 있다. 레지던시 공간에는 부출입구와 2개층 높이의 작업실이 위치해 있으며 전시장 공간과 레지던시 공간을 잇는 부분에 오피스가 위치해 있다.
2층 평면도이다. 전시장 공간에는 45도로 틀어져 있는 공간과 북측 공간을 합한 넓은 전시장이 위치해 있다. 레지던시 공간은 2층에서 필요에 따라 임시 전시장으로 쓰인다. 임시 전시장은 2층 전시장에서 문을 열고 작은 복도를 내려오면 들어갈 수 있으며 아티스트가 작업하는 작업실 내부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자그마한 테라스도 위치해 있다.
3층 평면도이다. 전시장 공간을 설명하자면 북측에는 특별 전시장이 위치해 있으며, 45도 틀어져 있는 공간에는 1층부터 천장까지 뚫려 있으며 통창으로 둘러싸인 큰 내부 보이드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카페가 위치해 있다. 3층의 레지던시 공간은 4명이 생활할 수 있는 개인실 4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측에는 모여서 휴식할 수 있는 쉼터가 위치해 있다.
전시 관람 동선은 1층 아트리움 관람 후 아트리움 내부 게단을 통해 2층으로 이동, 2층 전시장 관람 후 북서측 코어를 통해 3층으로 이동, 3층의 특별 전시장을 보는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태현웅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