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프로젝트는 주거 공간의 핵심 요소가 되는 가구에서 출발했다. 침대, 싱크대, 소파, 화장실 등 일상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가구의 기본 규격을 조사하고, 사람들이 그 가구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실 크기를 산정했다. 연구 결과, 사람들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사적 공간은 3m x 3m(3000mm x 3000mm)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1인, 2인, 4인 가구 등의 구성 형태에 맞춰 거실과 부엌과 같은 공용 공간을 배치하며 기본적인 평면을 형성했다. 기존 아파트 평면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술 발전과 함께 주거 구조가 벽식 구조에서 라멘 구조로 변화해왔음을 발견했다. 이에 따라 개개인의 취향과 필요에 맞게 내부 공간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었다. 사이트의 특성상 노년층과 청년층이 주요 거주자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기에, 노년층이 청년층에게 일부 공간을 임대할 수 있도록 세대 분리가 용이한 가변형 평면을 설계했다. 이를 위해 기본 모듈을 정육면체(3m x 3m x 3m) 큐브로 설정하여, 필요에 따라 쉽게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했다. 각 세대는 이러한 3m x 3m x 3m 큐브를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층이 올라감에 따라 세대를 엇갈리게 배치하여 모든 세대가 최소 3m x 3m 크기의 테라스를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이후 대지의 형태에 따라 채광과 동선을 고려하여 각 세대 모듈을 배치하며 최적의 형태를 도출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채호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