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의 집 Phase 02: 구체화하기> 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목표는 다음과 같다.
a. <최소의 집 Phase 01: 추상화하기> 의 건축적 개념 활용
b. 사이트 분석 및 동네 특성 파악
c. 페르소나(Persona) 설정 후 적합한 형태 설정
d. 실내-실외의 공간 구성과 프로그램 설정
e. 툴 사용법 학습 및 활용
1. 사이트 분석 & 페르소나(Persona) 설정
먼저, 2D 분석을 통해 간데메 공원을 중심으로 사이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중, 사이트 B가 공원과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3면이 도로와 접해있어 많은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특징이 있었다. 이번 과제에서는 외부인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기에 이에 적합하다 생각하여, 사이트 B를 선정했다.
거주자는 부부와 자녀 2명으로 구성된 4인 가족이다,
자녀들은 청소년기에는 부모와 함께 살아가지만, 성인이 되어 언젠가 떠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의 방은 '빈 방'으로 남는다. 이 '빈 방'을 에어비엔비(Airbnb) 공간으로 사용하여, 평소에는 자녀의 방으로 사용하되 자녀가 떠나있는 동안은 외부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생각했다. 그리고 그저 숙박만 제공하는 것이 아닌, 텃밭에서 같이 농사도 짓고, 밥도 같이 먹는 프로그램이 있는 에어비엔비(Airbnb)를 기획했다.
따라서, 3D 분석에서 한 건물은 거주인(부부)의 공간, 한 건물은 거주인(자녀) or 외부인의 공간으로 표현하였다.
부부의 공간은 그들의 사적 공간이 보장되어 있고, 자녀 or 외부인들 또한 사적 공간이 보장되도록 구성하였다. 하지만, 독립적이지 않고 서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 매스 스터디 및 발전
사이트 B가 긴 직사각형 모양이기에 직사각형 두 건물과 중간에 통로가 있는 정원을 생각하며 매스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1, 2 번 모형과 3 번 모형을 토대로 다이어그램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두 건물이 서로를 바라보는 형태와 경사면(Slope)을 설치 하여 동선과 공간의 겹침을 유도하였다.
이를 발전시켜 첫 컨셉 모형을 제작하였다.
경사면(Slope)의 각도와 위치가 너무나 다양했고, 사람 스케일에 맞게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라이노로 매트릭스 정리를 하며 형태를 발전시켰다. 허나, 이 모형은 주변 건물들과의 경향성(Context)에 맞지 않게 너무 뾰죡한 형태를 가지고 있고, 형태적으로 개선할 부분이 있었다.
3. 프로그램 구성, 모형 제작
중간 핀업 이후, 프로그램 구성을 매스 스터디와 함께 진행하였다.
<최소의 집 Phase 01: 추상화하기> 에서 가져온 건축적 개념은
공간적(프로그램)으로는 '공간의 위계'와 '공적/사적 영역의 구분',
형태적으로는 '관입'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페르소나(Persona)를 중심으로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그 위치를 정리하였다. 페르소나(Persona)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은 주방과 다이닝룸, 텃밭으로 꼽았다.
특히, 각 층마다의 프로그램 성격을 정하여 공간을 구성하였다.
1층은 두 건물을 가로지는 정원과 개방성이 높기 때문에 공적인 성격
2층은 부부 공간은 사적, 자녀 & 외부인 공간은 공적인 성격
3, 4층은 사적인 성격
따라서,
층마다의 프로그램 성격 -> 공적/사적 영역의 구분
경사면(Slope) -> 공간의 위계, 공적/사적 영역의 구분
** 3차 마감을 통해 업데이트할 예정
[형태]
여러 경우의 수를 시도하여 경사면(Slope)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하였다.
이 때, 경사면(Slope)으로 인한 Dead Space가 많이 생기게 되었는데, 경사면(Slope)이 있는 공간은 층고를 높이는 방법으로 이를 상쇄하고 공간감을 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2층에 다리를 두어 두 건물의 사용자들이 서로 만나기 용이하도록 배치하였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는 계단이 있다. 3층과 4층이라는 비교적 높은 주택이기 때문에 계단의 배치는 상당히 중요하였다. 심지어, 두 건물의 전반적인 형태가 직사각형이어서 계단에 따라 공간 구성, 동선이 많이 달라졌다.
일단, 부부의 공간에는 불투명한 콘크리트 재질의 경사면(Slope)이 덮고 있기에, 경사면 부분의 공간의 층고를 높게 하여 답답하지 않도록 개방하였고, 경사면(Slope)을 따라 올라가는 방식으로 계단을 배치하였다.
자녀 & 외부인의 공간은 바닥을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해보았고, 벽을 따라 일직선으로 계단을 배열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1-4층을 공간감 있게 연결하였다.
추가적으로, 공간의 성격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가능한 동선의 효율성을 챙기고 공간의 분위기를 맞춘 구성을 하였다.
4. 도면 작성
건물의 중심에 경사면(Slope)이 있기 때문에, 도면의 읽힘이 쉽지 않았다. 따라서, 경사면(Slope)에는 그라이디언트 해치(Gradient Hatch)를 적용하여 읽기 쉽도록 하였다. 그리고 라인웨이트(Line Weight) 또한 조절하였다.
평면도 또한 공간마다 재밌는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단면도과 입면도에서 가장 이 주택의 정체성이 잘드러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