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의 집 phase 2 : 구체화하기'에 주어진 사이트 주변의 전체적인 모습이다. 가운데에 큰 공원이 존재하며, 주변으로 약 11개의 큰 블록이 도로를 중심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블록들은 아파트와 주택들의 집합, 또는 큰 공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작은 주택들이 조밀하게 모여있는 형상이 눈에 띄었다. 이러한 주택들은 서로 격자를 이루며 존재하기도 하고 무작위로 배치되어 있기도 하다. 주택을 설계할 때에 주변 사이트와 어우러지며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고 싶었기에 사이트 주변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여기서 얻을 수 있었던 작은 매스들의 배치를 통한 골목들의 탄생, 사이트 안에 존재하는 공원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주어진 사이트이다. 주변을 전체적으로 분석해 보았을 경우에도, 사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공원이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즉, 공원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사이트에 직접 가서 경험해본 결과, 사이트 C에 누군가 '거주'하기에는 너무 공적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공원과의 통행이 가장 수월했던 곳은 사이트 B 였다. 사이트 A는 사이트 B보다 큰 도로를 기준으로 공원과 나뉘어져 있는데, 이러한 특성이 보도로 이동하기에는 어려운 환경을 만들었다고 느꼈다. 공원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자연에 대한 교육이 풍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사이트 B가 나의 주택 설계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골목, 길, 정원(공원)을 주택에 활용하기 위해 1차 과제에서 관찰되었던 개념들 중 하나인 '공간의 분절과 배치'를 떠올리게 되었다. 이는 모리야마 주택이 설계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위 사진은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매스 스터디의 사진이다. 모리야마 주택은 수직, 수평적으로 모두 다른 사이즈를 가진 직육면체의 매스들이 각각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를 활용하면서도 2층 매스를 분절된 공간들을 연결하여 그늘을 형성하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 매스 스터디에서는 여러 매스들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을 때 골목처럼 보인다는 특징을 알 수 있었고, 2층이 투박하게 올라가 있는 형태가 주택에 독특함을 불어넣어 줌을 알 수 있었다.
매스 스터디를 바탕으로 발전시킨 주택의 전반적인 컨셉 모형이다. 각 매스들을 고정시키지 않고 가장 적절한 배치를 찾아나갔다. 이때 가장 중요시했던 주택의 특징은 '길', 즉 동선이었다. 분절된 건물들로 인해 형성되는 길은 거주자에게 불편함을 주어서는 안되었고, 주변의 맥락과 어울려야 하며, 정원은 곳곳에 위치할 수 있어야 했다. 또한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페르소나(거주자)를 설정하였다. 거주자는 조경을 전공한 아내와 그녀의 남편, 그들의 초등학생 자녀이다. 아내는 이 주택에서 아이들에게 자연을 가르치기도 하고, 그 옆에 존재하는 꽃집을 남편과 함께 운영하기도 한다. 이 두 공간은 공적이면서 여러 사람들의 출입이 가능해야 하기에 공원과 인접한 곳에 배치하고 설계를 진행하였다. 이후 제작한 스터디 모형들은 주택의 입구가 어디인지, 길이 어떻게 형성되어야 골목처럼 느껴지는지 연구하며 만들어 보았다.
스터디 모형들을 바탕으로 발전시킨 중간 핀업 모형이다. 각 매스들의 위치가 어느 정도 고정되었는데, 이는 전체적인 사이트의 모양과 닮아 있고 골목을 충실히 형성하고 있다. 공간의 역할도 설정되었다. 중간의 아크릴로 제작된 공간은 다실, 사진의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공간은 꽃집, 그 위의 기역자 모양의 공간은 교실로 사용되며, 2층이 존재하는 건물들이 거주 공간으로 사용된다. 층을 높임으로써 더 사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었고, 주택 중간의 빈 공간들과 길의 연결 지점은 정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전체적인 형태가 잡힌 이후에는 시선을 고려하며 창을 뚫고, 정원을 배치할 공간을 정하고, 동선을 구체화 할 단계가 되었다.
구체화된 주택의 지상 평면도이다. 공간들의 역할이 확정되었고, 정원들의 배치도 정해졌다. 모든 건물들이 정원과 인접해있고, 길을 따라 걸어갈 때에는 항상 정원을 지나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정원은 공간을 분절하는 역할도 할 수 있었다. 2,3번 건물 사이의 길은 정원으로 인해 외부와 단절되어 있다. 창의 위치는 개방적인 공간과 사적인 공간에 배치된 위치에 차이가 있다. 1,5번 공간은 각각 교실과 꽃집인데, 모두 외부와 연결되어야 한다. 도면 상에서 교실의 좌측엔 큰 통창이 위치하여 아이들의 수업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였고, 꽃집 역시 좌측 하단에 큰 통창이 존재하여 꽃을 판매하기에 쉽고 공원에서 산책을 하거나 주변을 걷는 사람들이 보고 흥미를 느낄 수 있게 설계하였다. 반면 사무실, 서재, 차고, 거실에는 외부로 향하는 통창이 존재하지 않는다. 작은 세로로 긴 창이나 가로로 긴 창이 상단에 나있어 빛을 들여보내는 역할을 한다. 거실 위쪽의 통창은 내부 정원을 충실히 느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택의 2층 평면도이다. 2층의 배치는 1층의 건물들과 미묘하게 어긋나있다. 이를 통해 지상의 사적인 길에는 그늘이 형성되고, 거주자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어긋난 배치 때문에 계단의 위치를 잡는 것이 매우 어려웠는데, 계단을 거실과 부엌을 구분하는 용도로 1층에서 사용하고 계단이 올라감으로 인해 생기는 높이를 활용해 부엌의 출입구를 형성하였다.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마스터 베드룸이 나오게 되고, 다실과 차고 위쪽의 테라스로 향하는 문이 복도 옆에 존재하고 있다. 아이의 방과 라운지가 문 하나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이들의 창은 1층의 거주 공간에 비해서는 개방적이다. 특히 라운지 좌측의 큰 창은 1층의 정원들과 공원을 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A-A' 단면도이다. 꽃집의 원형 계단과 거실의 계단, 차고와 화장실, 정원의 나무 한그루가 표현되어 있다. 계단이 올라가며 계단 참의 위치 아래에 냉장고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두었고, 그 옆의 계단 아래쪽의 통로로 부엌과 거실, 차고로 갈 수 있는 공간이 연결되어 있다. 거실의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테라스로 향하는 문 옆에 밖을 보고 앉아 쉴 수 있는 라운지가 존재하고, 그곳의 의자를 표현하였다.
B-B' 단면도이다. 교실의 사물함과 위쪽의 가로로 긴 창이 보인다. 사무실과 서재에는 가구의 그리드와 일치하는 창이 나 있는데, 서재는 사적인 공간으로 구성하기 위해 빛만 들어올 수 있도록 높고 가로로 긴 창을 두었다. 사무실은 야외를 보며 작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하여 책상 위쪽으로 큰 창을 두었다. 그 위로 라운지와 아이의 방이 보이는데, 아이 방의 층고는 2층의 다른 공간들의 층보다 낮다. 이는 아이의 방임을 표현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모리야마 주택의 큰 특징 중 하나인 매스들의 다양한 높이를 가져오고자 설정한 특징이다. 전체적으로 좁은 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여서 내부의 문은 미닫이로 설정되어 있다.
매스 모형과 스터디 모형, 최종 모형까지의 발전 과정이다. 최종 모형은 도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최종 모형의 모습이다.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본 모습을 표현하였고, 여러 골목들과 사적인 외부 공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완성된 모형의 입면도이다.
주택의 전체적인 컨셉을 표현한 콜라주이다. 꽃집이 존재한다는 점과 정원들이 주택 곳곳에 위치한다는 특징을 살리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