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마다의 특징이 아닌 전체적인 특징을 먼저 말해보겠다. 이 집은 도면 상의 'Y2' 혹은 'Y3' 축을 기준으로 위 쪽은 공용, 아래 쪽은 개인적 공간 특성을 가진다.중앙에 길에 나 있는 복도와 복도의 양 끝엔 통창이 있고 그 통창은 1층부터 3층까지 이어진다. 또한 마당에서 바라보는 집은 오픈되어있는것처럼 느껴지지만 반대쪽(도로쪽)에서 본 집은 개인적인 공간이라 느껴진다. 이것에는 '창'이 큰 역할을 한다. 마당 방향에는 창을 많이 두고 베란다 등 열려있는 공간이 많지만, 반대편에는 창을 아주 제한적으로 둘 뿐 아니라 입구 또한 계단을 두어 레벨을 높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의도한 이유는 사이트의 특징과도 관련이 있는데 사이트의'B'구역은 두 면이 도로와 맞닿아 있고 도로의 건너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원이 위치해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문제가 중요하다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창이 있는 부분의 반대편엔 똑같이 창을 내어 답답하다 느끼지 않게, 내부 공간이 넓게 보이게 하였다.
1층엔 식당과 거실 작은 서재가 존재하며 거실은 레벨을 좀 더 낮추어 마당과 레벨을 맞추었다. 복도의 양 끝은 오픈스페이스로 2층, 3층과 간접적으로 이어진다. 거실 또한 위층과 상호작용한다. 거실의 레벨은 낮추되 2층의 같은 부분은 들어올려 거실이 최대한 쾌적하게 하였다.
2층은 주로 자녀들이 사용하는 층이다. 2층의 다목적 공간은 1층의 식당과 이어진다. 또한 1층의 서재와 같은 부분은 베란다를 두었고 '꽃집을 운영하며 식물을 가꾸는 걸 좋아하는 아내가 산다'는 설정을 활용하였다.
3층엔 부부만의 공간이다. 계단은 다른 층과 다르게 문을 두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정치우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