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바로 옆 공원을 분석하기 위해 직접 한 바퀴를 돌아보면서 같은 시간대에 공원 내 특정 구역에 어린이들, 할머니들, 할아버지들이 제각각 모여 자기들만의 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공원의 특성에서 영감을 받아 건축물의 클라이언트를 3대 가족으로 설정하였다.
3대 모두가 결속력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각 세대 간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건축물을 설계하고자 했다. 그래서 이러한 컨셉을 위와 같이 3D 콜라주로 표현해보았다. 과제1에서 선례분석했던 뷰하우스가 공간과 통로를 의도적으로 배치해 나선형의 이동 동선을 유도하는 개념을 이용해 다음 프로세스 모형 사진 중 첫 번째 모형으로 매스 스터디를 시작하게 되었다.
매스 스터디 과정에서 각 세대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세대별로 서로 다른 공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두 번째 모형과 같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 모형에서 마당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속적인 이동 동선이 포인트이기 때문에 사이트는 세 면이 도로와 인접해 있는 사이트B로 선택했다. 근데 이 모형을 보면 각 세대의 사생활은 지켜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3대 가족이 결속력을 지닐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모형의 모퉁이 중 한 부분을 원형으로 형성해 부엌과 거실을 두어 3대 모두가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 원형 부분은 프라이버시를 위해 바로 도로에 직면하지 않게 안쪽에 위치하게 배치시켰다. 이렇게 스터디를 하는 과정에서 마당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속적인 이동 동선도 좋은 특성이지만 마당이 자연스럽게 두 개로 나뉘어 안쪽 마당은 사적인 마당, 도로쪽에 위치한 마당은 공적인 마당의 성질을 갖는 것이 이 건물의 중요한 특징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마당의 특성을 확실히 살리기 위해 사이트를 두 면이 건물들로 둘러싸인 사이트A로 변경하게 되었다. 계속 스터디를 하는 과정에서 사이트를 바꾸게 되면서 원형 부분의 공간이 목적성을 잃어 다시 직사각형 형태로 바꾸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커다란 세 개의 덩어리가 겹쳐진 형태가 형성되게 되었다. 이러한 최종 모형에서 가족의 결속력을 형성할 수 있는 공용 공간은 각 세대 공간의 교집합 부분에 형성하여 공용 공간이 각 세대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설계된 건물의 1층 평면도를 보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구분되는 2개의 마당이 생김을 알 수 있다. 이 2개의 마당 중 키친 앤 다이닝룸 앞에 위치한 마당은 가족들의 사적인 마당,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1층 라운지에 놀러 오시는 노인분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적인 마당으로 목적성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사이트A에 이 건물을 배치했을 때 사적인 마당의 열린 부분이 옆 건물로 막히도록 하여 더욱더 그 마당의 특성인 사적임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공적인 마당은 공원과 마주하게 하고 도로와 직면하게 하여 노인분들이 쉽게 왔다갔다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적인 마당의 특성을 강화시켰다. 또한 사적인 마당의 플로어 레벨을 450mm만큼 파내어 공적인 마당과 더욱더 구분되기 하였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송은지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