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1은 여러 건축물 중 하나의 선례를 선정하고, 그 건축물의 설계 과정을 거꾸로 추적해나가 건축가가 건축물의 어떠한 건축적 개념을 사용했을지에 관해 생각해보고 추상화하는 과제이다.
나는 Johnston Marklee의 View House의 톡특한 형태와 곡선을 포함하고 있는 건축물의 형태에 이끌려 이를 선례 건축물로 선정하였다.
이 건축물에서 개념을 뽑아내고 추상화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완벽하게 파악해야 함을 느꼈다.
그래서 위와 같이 트레이싱지 위에 각 층 평면도에서 중요한 벽들의 선을 따고 겹쳐 놓고 관찰함으로써 건축물 내부에서 공간이 어디에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이동 동선을 어떻게 유도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또한 건물의 외벽을 직접 모형으로 만들어 봄으로써 뷰하우스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창의 위치가 어떻게 형성되게 되었는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뷰하우스의 외관을 보면 기하학적인 빼기를 이용한 디자인이 가장 큰 특징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빼기가 창의 위치와 공간의 배치에 영향을 끼쳤음을 결론적으로 알게 되었다. 그래서 선례 분석을 통해 건축물의 디자인과 창, 공간의 상호 연관성을 주요 개념으로 뽑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을 어떻게 표현할까 고민을 하다가 창과 공간을 하나로 묶어 매스로 표현한 후 이를 전체적인 매스에 관입한 모습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우선 공간을 시각화한 후 창이 위치한 부분에 관입시켜 공간이 존재함으로써 창도 함께 존재함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공간과 창이 360도로 겹쳐진 부분없이 배치됨을 보임으로써 건축물의 이름에 맞게 주위의 모든 풍경을 골고루 즐길 수 있게 하는 창과 공간의 연관성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건축물에서 빼기가 된 부분들을 뚫린 상태로 표현한 후 시각화된 공간들을 밖에서 들여다 보이게 함으로써 기하학적인 빼기가 공간의 필요성이 없는 부분에서 이루어짐을 나타내었다.
이렇게 모형을 통해 각각의 요소들의 연관성을 따져 보면 건축물의 외관 디자인, 창의 위치,공간의 존재 이유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