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mse house는 조립식 주택으로 프레임을 통한 구분을 시작으로 공과 사를 구분해주는 본채와 별채의 계단을 달리 구분한 점, 1/2층의 면적을 다르게 한 점,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사적인 마당의 구분이 특징이다.
나는 건축의 요소를 최소화한 조립식 주택이 몬드리안 패턴을 활용한 3가지 종류의 창문의 배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eamse house의 창문을 보았을 때 통창,반투명.솔리드 창문 3가지 종류를 볼 수 있다. 투명한 창문의 개수를 세어보았을 때 거실 > 주방 > 침실 순으로 투명한 창문의 개수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나의 건축적 개념은 '공과 사의 영역적 구분'이다. 공적일수록 통창이 많고 사적일수록 솔리드 부분을 많이 배치해서 공과 사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추상화 모형은 eamse house를 본채 면적을 기준으로 거실, 주방, 침실을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공과 사를 구분하는 기준을 '사람의 빈도수'로 설정하여 가장 공적인 거실은 통창을 많이 배치하고 반공적인 주방은 불투명 창문을 섞어서 표현하고 가장 사적인 침실은 통창을 적게 배치하였다. 마당 또한 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준으로 공적, 사적을 구분해 높이를 통해 강조하고 같은 영역을 가진 것끼리 바닥색으로 구분하여 표현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서은서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