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1은 유명 선례를 선정하여 그 집의 기본원리와 개념에 대한 분석, 그리고 재구성까지 해보는 것이었다. 나는 임스 부부의 CASE STUDY HOUSE #8(임스 하우스) 을 선택하여 분석해보았다. 컨테이너처럼 보이는 특이한 재료 사용/큰 통창 유리로 인해 들어오는 따뜻한 빛이 인상깊어 선정하게 되었다. 임스 부부는 무엇을 핵심으로 이 집을 설계하게 되었을까? 1. 가장 먼저 임스 하우스의 기본정보(건축가, 설계 년도, 면적, 위치, 프로그램 등..)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임스 하우스에 대해 특별한 점이 있다면 'Designs for Postwar living' 즉,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건축의 변화, 전쟁이 집에 미친 영향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임스 하우스에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개발된 세메스토라는 재료가 벽체로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임스 부부는 세메스토, 콘크리트, 강철, 유리와 같은 재료의 사용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모더니즘 건축물을 만들었다. 임스 부부는 이러한 재료를 감추지 않고 '재료의 정직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그대로 노출시키고자 하였다.
2. 다음으로는 다양하게 그려보며 공간을 분석해 보았다. 벽만 그려보기, 바닥만 그려보기, 벽과 바닥 합쳐서 그려보기, 동선 상상하며 그려보기, 중요한 공간은 어딜까 상상하며 그려보기 등 여러가지를 시도해보았다. 또한 사람들이 어디에 주로 머무는지 파악하고자 사람들의 발걸음이 자주 머무는 곳을 빨간색으로, 자주 머물지 않는 곳을 파란색으로 상상하며 칠해보았다. 따뜻하고 포근한 공간일수록 사람들이 자주 머물 것이라고 생각하여 시도해 본 것이었다. 그 결과, 햇빛이 잘 들어오는 창가, 가족들과 소통할 수 있는 거실과 식탁 공간에 사람들이 자주 들락거릴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나는 이렇게 사람들이 자주 머물 것 같은 따뜻한 공간에 집중한 것은 임스 하우스가 차가운 모더니즘 재료에 비해 따뜻함과 포근함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게 임스 하우스의 큰 매력이라고 생각되었다.
임스 부부는 임스 하우스를 사진 찍어 'House After Five Years of Living' 이라는 영상 작품을 만들었다. 이 영상에서 임스 부부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했는지 알 수 있었다. 주변 자연이 통창을 통해 그림자로 들어오는 모습과 다양한 가구들이 영상에 담겨있었다. 따라서 '그림자와 가구들' 이 따뜻함을 느끼게 하는 요소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나는 '그림자' 가 매우 따뜻하게 느껴져 이 집의 추상화 개념으로 그림자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3. '따뜻함을 만들어내는 그림자'를 모형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아래 사진들과 같이 임스 하우스에 비춰진 자연 그림자 사진을 모형 틀에 붙여보았다. 임스 하우스 어느 위치에 어떤 그림자가 드리워지는지 고려하여 붙였다(대부분의 그림자 이미지는 임스 부부의 영상 작품에서 가져왔다). 하지만 생각보다 지저분하고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잘 드러나지 않아 고민이 되었다. 임스 하우스의 외부에 색깔과 디테일을 표현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였고 필름지를 이용하여 그림자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임스 부부가 어느 위치에서 그림자를 바라보았을지 'House After Five Years of Living' 영상을 토대로 예측하여 그 자리에 핀을 꽂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송형원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