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번째 과제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은 바르셀로나 박람회의 개최 기념식을 거행하는 장소로 1928년 7월부터 1929년 2월까지 설계되었으며, 1929년 5월에 건립되었다가 1930년 1월에 철거 되었다. 그 후 1986년도에 몇 장 남아있지 않은 도면과 사진을 참조되어 새로 건설되었다.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이 근대 건축의 분수령을 기록하는 훌륭한 건물이기도 하지만 관점과 접근방법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지속적으로 가능했기에 철거 이후에도 수많은 건축가들과 비평가들이 이례적으로 논의를 거듭하기도 했다. 두 번째 과제는 이런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의 도면을 이해하고 직접 그려보며 1:1 크기의 도면까지 그리는 것이 과제이다.
- 첫 도면 그리면서
내가 이번에 도면을 그리면서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기호와 위계이다. 우선 도면 위에서의 기호로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은 여러가지이다. 선, 그림, 글씨, 숫자 등 그 중 나는 선의 일부인 축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른 도면은 모르겠지만 이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도면을 그리면서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했던 게 축선이다. 축선을 그려야만 도면을 그릴 때 기준을 알 수 있고 앞으로의 도면의 길잡이를 해주기 때문이다. 축선을 그린 후 이후 건물들을 하나씩 그려가는 것이 도면을 그리기 위한 시작이다. 축선을 모르고 처음 A2용지에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을 1/100의 크기로 그리는 작업을 시작하였을 때 하얀 도화지에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다. 이후 도면을 그리면서 축선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체감할 수 있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위계이다. 위계를 표현하기 위해선 선의 굵기를 어떻게 다르게 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도면의 종류에 따라서 가장 위에 있는 부분들은 가장 굵게, 가구 같이 도면에 있어서 너무 세부적인 부분은 비교적 가늘게 그려야 한다. 하지만 이걸 표현하는 게 쉽지 않았다. 도면의 종류에 따라서 어떤 부분이 중요해서 선을 굵게 그려야 하는지 나와 있지 않아 스스로 판단해 그려야하기에 그 점이 가장 어려웠다.
- 1:1 도면 작업
도면을 다 그린 후 1:1 도면 작업으로 들어갔다. 비록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의 전체는 아니지만 일부를 그리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1:1도면은 A2 도면을 사용하여 펜으로 그릴 때와는 다르게 생각보다 많은 과정이 필요하다. 선 하나를 그리기 위해서 스케일과 자를 사용하여 크기를 표시하고 실을 사용하여 부분 표시를 한 후 먹선으로 선을 그리고 이후 테이프로 선을 표현하는 것이 한 과정이다.
1:1로 그릴 때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창문을 표현할 때였다. A2 도면에 샤프로 그릴 때에는 선의 위계만 표현해 몰랐던 부분이었는데 유리를 표현하고 중간 프레임의 두께를 고려하여 좌우 간격 맞게 표현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선으로만 있었던 부분이 실제 건물로 옮겨졌을 때의 크기를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내 생각과 생각을 현실로 옮기는 과정이 얼마나 복잡하고 많은 것들을 요구하는지 다 알지는 못하지만,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경험이었다.
- 마무리
1:1로 건물을 다 표현하면서 사실 처음에는 손도면으로 왜 3장씩이나 그리는지 의미를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손으로 한 줄 한 줄 그려가며 여러번 확인하면서 도면 3장을 다 그렸을 때에는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에 무엇이 있으며 어떤 것이 구성되어있는지 자연스럽게 습득해 있었다. 또한 아무리 위계를 표현해도 눈으로 보았을 때 잘 보이지 않아보였는데 위에서 사진을 찍어서 확인하니 위계가 보였던 경험도 이래서 다양한 시각이 중요하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까지만 해도 도면에 대해서 아는 것이 하나도 없는 상태였는데 이제는 도면에서 말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해석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해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도면을 그리면서 배울 수 있었던 시행착오나 그 당시에는 그리기 어려워 짜증났던 일들이 나중에 생각해보니 다 나에게 좋은 지식으로 자리잡아있었다. 때문에 이런 과정에서 배워가는 것들이 이 과제의 핵심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참고문헌
- 바로셀로나 파빌리온의 구축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33호 양재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