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은 1929년에 지어진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이 파빌리온은 1929년에 바르셀로나 만국박람회에서 독일관으로 개관되고 해체된 뒤, 1986년 다시 복원되었다. 이 독일관은 어떠한 기능적 요청의 충족보다는 박람회 개관 때 스페인국왕이 개회를 선언하는 장소로 의전적인 역할이 더 컸다. 이 건축물에서 미스 반 데어 로에는 막연하게 주택을 연상하게 하는 스케일의 건축에서 트라버틴, 투명유리, 녹색착색유리, 유백색 유리 등으로 구성된 일련의 연결된 공간이 8개의 가는 금속 기둥 위에 얹혀진 장방향 지붕이 특징이다. 이는 한면은 실내로 다른 면은 외부 공간으로 전개되어 가는 새로운 공간 개념을 제시했다. 공간이 갇혀 있지 않고 흐르듯 한쪽으로 들어와서 한쪽으로 나간다. 마치 넓은 복도가 중첩된 것처럼 반사 유리 등을 이용해 사람들의 발길을 역동적으로 이끈다. 하얀 평지붕, 녹색 대리석 벽체, 십자 기둥, 트래버틴 대리석 바닥과 벽체, 두개의 연못, 비대칭의 공간에서 시선의 이동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 분활 현상은 안과 밖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처음으로 건축 설계 도면을 그리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도면을 그리는 데에는 관찰력과 섬세함,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기존에 있던 설계도면을 직접 손으로 옮기면서 그리는 과정에서 타일이나 기둥 등과 같이 헷갈리거나 복잡한 요소들을 그릴 때에는 기존의 도면을 잘 관찰하여 섬세하게 그리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막연하게 설계도면을 보고 그리는 것이 아니라 설계도면을 이해하려면 어느정도의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기존의 건축물들의 사진들을 참고하거나 VR을 통해서 그리고 있는 설계도면의 부분들이 어떠한 모습일지 계속 생각하면서 그리다보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1대 1 도면의 과제의 목적은 건물의 스케일을 이해하는 것이다. 기존에 1/200 스케일로 직접 그린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실제 크기로 그려보면서 건물의 실제 크기를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이었다. 스케일이 커지다보니 작은 숫자의 차이나 실수 같은 것들이 수정하기 힘들고 겉으로 티가 많이 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때 교수님께서 해주신 말씀이 인상이 깊은데 “실제 시공을 할 때에 기초공사에서 실수가 나면 적어도 3배 이상의 손해가 난다” 라는 말이 기억에 남았다. 그렇기에 더욱 더 축선을 그리는 기초적인 작업을 할 때에 섬세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종이 한장의 설계도면과 같은 것들은 혼자의 힘으로 그려낼 수 있지만 실제 크기를 고려한 건축물의 도면을 그릴 때에는 여러 사람들의 협업이 중요했다. 절대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들이기에 동료들과 함께 협동하는 것이 중요했다. 특히 사람수가 많다는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각자 맡은 일들을 빠르게 하며 다음 사람에게 넘기거나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것이 중요했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이 있듯이 여러명에서 함께하다보니 의견이 달라 시간을 낭비하는 일들이 있었다. 이때마다 서로 소통하고 할 일들을 체계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했다. 1대 1 도면 그리기를 통해 건물의 실제 스케일 느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동료들과 협업할 때 소통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설원식, 현대건축의 거장들, 현대미술관회출판부, 1988년 11월, pp.55
매일경제, 효효, 건축학도들의 성지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https://www.mk.co.kr/news/culture/901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