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사이트는 학교 정문 옆 주차장 부지를 선정했다. 이 사이트는 서울시립대에서 몇 안되는 실제 건물이 있을 법한 공간이고 현재 비워져 있는 상태다. 사이트의 크기도 커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건물이 들어가기에 적합한 곳이라고 생각했다. 이 사이트 주변은 울창한 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이 공간으로 들어가는 긴 집입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만들어질 공간이 외부 세계와 분리된 성역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었고 그 성역으로 들어갔을 때 정적이고 고요한 느낌을 얻을 수 있다. 그 자체로 휴식공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게다가 진입로 초입에서 보이는 아파트는 중정 내부로 들어간 순간부터 울창한 나무 숲에 의해 절묘하게 가려진다. 이로 인해 이 공간은 더욱더 고요해지고 평화로워진다. 중정 내부에서는 물, 건물, 자연, 하늘, 빛 이 다섯 가지 요소만 존재한다.
Design Develop 사이트를 정한 후 그에 맞게 디벨롭을 했다. 1차 과제 작품에서 기본적으로 스케일을 약 1.3배 키운 후, 사이트에 자연스레 생기는 진입로에 맞게 좌우반전을 시켜주었다. 그 후 세 건물 중 중간 건물이 메인 진입로에서 보았을 때 양측 건물의 중간쯤에 오게 독립된 건물을 이동시켜 주고, 사이트 형태와 프로그램 요구에 맞게 매스들을 덧붙여 준다. 프로그램은 복합문화시설이고, Cafe, Gallery, Seminar 등의 기능들이 사이트 맥락에 맞게 배치된다. 기본적으로 각 독채는 3가지의 기능을 각각 담게 된다. Cafe는 사이트로 진입하는 3개의 동선이 교차하는 독채에 배치하였다. 주 진입로에서 드러나는 중심 독채에 Gallery를 배치하고 옆 독채와 이어지는 긴 실내 시퀀스를 따라 연장되도록 하였다. 그 시퀀스에 끝에 붙어 있는 독채 공간에 Seminar와 Toilet의 기능을 배치했다. 사이트 특성에 기인해 발생하게 되는 가장 긴 진입로를 따라 Water 수로를 배치해 주었다. 이 수로는 이 성역과 같은 공간으로 동선을 유도하는 장치가 되면서도 물이라는 특성 자체로 고요하고 정적인 느낌이 들도록 한다.
1. Hall 2. Seminar room 3. Gallery 4. Cafe kitchen 5. Video room 6. Toilet 7. Courtyard 8. Storage 9. Water
Cafe 공간에서는 세 개의 진입로가 위치하는 곳에 cafe로 들어가는 문을 배치하고, seminar room으로 가는 문과 cafe 카운터 등 모든 동선이 몰리는 곳에 hall을 배치했다. Gallery에는 Video room을 두어 암흑공간에서의 전시를 가능하도록 하였고 긴 복도를 따라 테이블을 배치하여 음료를 마시며 작품과 중정공간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Toilet은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을 니즈에 맞추어 다르게 설계하였다. 여자화장실보다 남자화장실의 큐비클이 약간 더 크며 여자는 2개 남자는 1개를 두었다. 일부 semiar room에는 위에서 빛이 떨어지는 프라이빗한 야외공간을 두어 휴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계단 밑 공간을 활용해 Storage를 두었다. 중정의 Water는 정 중앙에 배치하여 비대칭적인 건물 형태와 밸런스를 맞추었다.
이 건물은 나무 숲이 우거진 사이트 한가운데 위치해 있다. 2층 레벨에 나무와 가까이 교감할 수 있는 산책로를 설계했다. 2층 레벨에서의 산책은 1층 레벨에서의 산책과 차별화된 비일상적 경험을 제공한다. 1층 레벨 산책은 나무줄기 사이로 주변 건물이 보이고 나무 그늘 아래에서 가지와 잎을 올려다보며 걷는다. 반면 2층 산책로에서는 나뭇가지와 나뭇잎들로 주변 건물들은 지워지고 그들을 어깨 옆으로 스치며 같은 높이에서 나무들과 교감하는 독특한 산책경험을 할 수 있다.
Isometric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안효천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