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층은 전부 슈뢰더부인의 공간이다. 남동측의 현관으로 들어서면 중앙의 계단을 중심으로, 남쪽 코너에 서재열람실이 있고, 시계방향으로 남서측 전면도로를 향해 큰 창이 있는 스튜디오와 작업실이 있고, 거기서 연결되는 북쪽 코너의 안방 침실, 그리고 동쪽 코너에 거실,주방,식당 용도의 큰 방이 현관으로 이어진다. 또 이 집은 유연한 내부공간의 배치와 건축 공간의 사용으로 유명하다. 2층은 단일 개방 공간이지만 이동식 패널과 슬라이딩 도어등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 세 개의 침실과 하나의 거실로 나뉠수 있도록 내부공간에 가변성을 주엇다 3차원 공간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성을 부여해 4차원의 건축물이 탄생했다고 한다.
슈뢰더 하우스를 보고 맨 처음 떠오른 것은 몬드리안의 그림이었다. 몬드리안과 테오 반 되스버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신조형 예술 운동, 더 스테일의 그룹이었던 게리트 리트벨트가 그 이상을 건축적으로 실현시킨 작품이 슈뢰더 하우스다. 그는 건축 공간의 시지각을 방해하는 모든 장식을 제거하고 원초적인 요소들로 건축공간을 실현하고자 했다. 따라서 리트벨트는 공간 구축 요소를 경계가 명확한 형태 및 색상으로 구분했다. 슈뢰더 하우스의 공간 구축요소는 크게 선 면 색채로 분류된다. 색은 빨강, 노랑, 파랑 삼원색으로 한정하여 사용하엿다. 이처럼 장식을 최대한 배제하고 단순 명확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하엿음에도 건물외관에서 리듬감을 느낄 수 잇는 것은 수직과 수평으로 만나는 면들이 건물의 볼륨을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데스틸의 창시자인 테오반 도에스버그 는 슈뢰더하우스를 안티큐빅 anti-cubic* 이라고 했다. 갇혀있는 정체된 큐브가 아니라 큐브의 중심(중앙계단)으로부터 수평면과 수직면이 밖으로 터져나가듯이 발코니의 벽과 처마들을 처리하여 여기저기서 오픈된 박스가 되었다. 일부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 떠있는 면들의 조합처럼 만들고 있다.
조적벽 위에 시멘트몰탈 페인트 도장을 한 외벽에 발코니와 지붕처마 등 만 콘크리트로 했다. 창문틀도 주로 목재를 사용했다. 빨노파의 목재창틀은 몬드리안 드로잉이다. 바닥마감은 목재이다. 일부 철제 거더 girder 나 H형강기둥이 구조재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게리트 리트벨트는 다양한 재료즐을 채색함으로써 재료 자체의 특성을 감추고 데스틸에서 추구하는 단순화를 성공시켯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임수민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