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ncept
아고라는 사람들이 모이는 커뮤니티 공간이자 이벤트가 발생하는 공간이다. 즉 다양성이 존재하는 곳으로 생각할 수 있다. 미래에는 단편적인 정보 수집이 아닌 사람들의 다양한 경험을 융합하고 공유하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 복합적인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 통합된 공간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과거의 아고라 개념을 '다양성'과 '만남'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해서 재해석하고자 했다.
현대의 도시공간은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공간들이 학교나 공원, 시장과 같이 각기 흩어져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래 도서관인 Neo Agora에서는 이벤트 공간인 아고라를 중첩하고 확장시킴으로써 다양한 경험이 발생하고 또 공유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했다. 평면적으로 3개의 아고라를 배치하고 이들을 수직적으로 중첩하고 내외부로 확장시켜 만남의 장이 되도록 했다.
2. Site Analysis
사이트는 사거리 코너 쪽 연결녹지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보행동선과 차량동선의 교차지점이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많고 접근성도 좋은 편이다. 따라서 코너 쪽 공간을 비워내 대지 내부로 동선을 유도하고자 했다.
주변환경을 살펴보면 동북쪽, 동남쪽 도로를 따라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소공원과 면해 있어 연결녹지를 대지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또 사거리를 기준으로 고층아파트와 저층주거지가 접해 있어 사이트가 일종의 스케일적 버퍼공간의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저층으로 계획하고자 했다.
한편 동대문구 생활서비스시설을 분석했을 때 주민복지시설과 장애인복지시설이 현저히 부족하여 '모두를 위한 도서관'을 모토로 잡고 시민활동공간을 함께 계획하고자 했다.
3. Program
프로그램은 저층부부터 '시민소통공간', '자료이용공간 및 특화프로그램', '업무관리공간 및 휴게공간'으로 구성된다. 남쪽 아고라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프로그램의 활동성에 따라 공간을 배치했다. 프로그램별 면적에서 자료이용공간을 제외하면 공용부문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다양한 경험을 위한 아고라간의 동선계획과 공간구성방식 때문이다.
동선은 '방문객', '관리자', '책 반출입' 동선으로 구분하여 계획했다. 수직동선은 코어 2개와 2~4층을 연결하는 중앙슬로프, 이외 내외부 경사로를 통해 이뤄진다. 내부 동선은 아고라별 메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형성했다.
4. Plan, Rendering Images
건물의 배치는 3개의 아고라를 중심으로 사거리 코너 쪽을 비워두는 방식이다. 비워진 공간은 만남의 광장 역할을 하고 사람들을 대지 안으로 끌어들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1층은 남쪽 매스를 비워내어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쉽게 접근이 가능한 '시민소통공간-외부 아고라'를 마련했다. 북쪽 매스에는 외부 슬로프를 배치해서 동선이 2층까지 연결되도록 했다.
2층은 사이트 서북쪽의 소공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부출입구가 위치한다. 내부공간은 특화프로그램 및 자료열람공간으로 구성된다. 특화프로그램은 '청소년독서문화공간인 0 Community'로 설정했는데, 독서와 독후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공간과 디지털 자료를 통해 책을 다양한 방식으로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분류된다('이야기 마당'과 '감각 마당').
3층은 2층보다 정적인 성격의 특화프로그램과 자료열람공간이 위치한다. 열람공간은 소공원 쪽으로는 열리고 도로 쪽으로는 닫힌 형태를 취해 자연환경은 받아들이고 소음은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3층부터는 바깥쪽 슬라브가 셋백되기 시작하면서 작은 천창을 통해 햇빛을 들이고 입면에 다양성을 주게 된다.
4층에는 사무실, 보존서고와 같은 관리공간과 북카페가 위치한다. 서쪽에는 솔리드한 벽체가 있는 공간들을 배치해 과도한 햇빛의 유입을 막도록 했다. 여러 오프닝들을 통해 아래층과 시각적, 동선적으로 연계된다.
옥상층에는 산책로와 전시공간을 배치하여 도서관 방문객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지하층에는 주차장과 기계 전기실, 강당의 아래층, 숙직실 등이 위치한다.
5. Building System
전체 구조는 슬라브와 기둥, 보, 코어가 바탕이 되고 유리 커튼월과 목재 루버가 그 위에 덧붙여지는 방식이다. 지상은 철골조, 지하는 철근콘크리트조이다.
슬라브는 데크플레이트로 사이에 보를 삽입했고 3개 이상의 보가 만나는 부분에는 커넥터를 사용했다. 2~4층을 연결하는 중앙슬로프는 최상층에서 강봉을 내려 고정했다.
6. Sustainable Design
자연채광은 슬라브가 셋백된 부분과 중앙슬로프 쪽 천창을 통해 이루어진다. 천창의 경우 루버를 달아 빛이 한번 걸러져 실내로 들어오도록 했다. 자연환기는 하부 수동창을 통해 공기가 들어오고 실내에서 달궈져 상승하면 천창 쪽 오프닝으로 빠져나가는 방식이다. 창에는 태양전지필름을 부착해 에너지생산이 가능하도록 했고, 원형기둥에는 빗물파이프를 내장해 빗물재활용시스템을 구축했다.
내부공간의 요소들과 입면의 게획이 설비와 친환경 계획까지 연결되도록 하고자 했다.
7. Section, Elevation, Detail Section, Detail Elevation
8. Main Model, Section Detai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