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
PLANET(세상)을 PLANT IT(계획하고) PLANT IT(심다)
PROJECT 'PLANT IT'은
우리가 직면한 도심의 밀도와 녹지 부족의 문제를 공간으로 끌어와 도심 한가운데 발생하는 거대한 동굴이자 언덕으로서 밀도를 비워냄과 동시에 녹지의 연장을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환경의 변화를 극단적으로 경험하게 한다.
또한 단지라는 울타리로 인해 단절 되어버린 도심의 네트워크를 마치 나무의 뿌리가 흙을 가르며 연결되듯이 일종의 거점지로써 활성화되어 도심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새롭게 구성하면서 네트워크의 기반이자 중심이 된다.
즉 도서관이라는 프로그램이 가지는 서고와 서가에 치중되어진 전통적인 성질이 아닌 공공 건물로서의 공공성에 집중해 도서관을 책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공공의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극대화해 새로운 형태의 미래 도서관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사이트를 조사하고 분석한 것을 토대로 컨셉을 도출하고 컨셉으로 부터 파생된 매스를 구조. 공간적 관점에서 구성해나간 진행상태를 도면과 이미지를 통해 보이고자 한다.
2. SITE
2-1.SITE APPROACH
사이트의 현상황을 살펴보면
사거리를 끼고 있어 유동인구와 차량이동량이 많고 이로인해 발생하는 생활 소음권 영역에 해당한다.
근처에 대규모 고층 아파트단지가 위치한다. 그러나 북서쪽으로 녹지를 끼고 있어 고층 아파트의 그림자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다.
하지만 주변 주거의 밀도에 비해 배치된 녹지의 규모와 수가 적으며
아파트 단지와 주거단지, 교육 공간을 이어줄 거점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2-2. SITE ANALYSIS
이를 통해 파악한 사이트는
DENSITY : 고층의 아파트 단지와 주택단지로 인한 높은 밀도
GREEN : 주거의 밀도에 비해 적은 수와 작은 규모로 배치된 녹지
ENVIRONMENT : 초, 중, 고등학교와 같은 교육시설과 보육시설이 위치한 환경
CONDITION : 북서측으로 녹지 / 남서측으로 고등학교와 맞닿은 환경
이라는 4가지의 문제점을 도심과 공유하고 있다.
이때 사이트는 주거단지의 높은 밀도를 조절하고 적은 녹지의 수와 규모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녹지, 교육환경과 경계선을 접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교육환경에서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공용 공간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구성하였다.
녹지의 작은 규모를 충족하고자 사이트 내로 녹지를 확장해 규모를 확보하고
교육 시설이 위치한 방향에서 접근하는 동선을 고려하여 매스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3. CONCEPT
3-1. MASS
사이트 내로 확장되는 녹지는 녹지 내에 존재하는 경사를 이어 사이트 내로 침투하고
경사면의 아랫부분을 들어내어 빈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도심의 밀도를 조절한다.
이로 인해 만들어진 경사면에 프로그램들이 배치되어 공간을 확보하면서 매스를 형성하고
프로그램은 경사를 따라 수직적으로 배치되면서 단차를 형성한다.
3-2. @PROGRAM
매스는 '녹지면'과 '도심면' 두 가지 성격의 면을 가지며
'녹지면'은 경사를 배치된 단차에 녹지가 점진적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녹지와 함께 도서관으로서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오디오 북을 주 독서 활동으로 선정하여 녹지를 공용 공간이자 도서관의 독서 공간으로서 기능하도록 의도했다.
'도심면'은 거대한 대공간을 형성한다.
이 대공간에 특화 프로그램으로 식물원을 도입하였다.
식물원의 배치는 현 사이트의 문제로 거론되었던 녹지 부족의 문제를 사이트만의 문제가 아닌 도시 스케일, 범 세계적 스케일에서 주목하는 녹지 부족, 환경 파괴 식물 다양성 감소 등의 환경 문제를 환기하면서 체험을 통해 학생들에게 녹지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공간으로 이용되며 미래 도서관으로써의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 생각된다.
4. STRUCTURE
매스의 아래에 형성된 대공간은
식물, 토양, 방수 설비와 동굴을 이루면서 전진하는 슬라브로 인해 거대한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지탱하기 위해 비워내었던 한면의 매스를 전진시켜 스팬을 줄여 모멘트의 크기를 줄이고 구조가 배치될 영역을 확보한다.
동시에 반대면의 파사드를 유지해 다른면과 대비시키는 것으로 대공간을 보존하는 것은 물론 비워낸 대 공간의 입면을 강조한다.
구조는 철골을 이용해 구조의 하중을 줄임과 동시에 설비와 토양의 배치로 두꺼워지는 슬라브의 두께를 조절하여 천고를 확보하며
트러스로 슬라브를 고정하여 하중을 기초로 전달한다.
전달된 하중은 지하 12m에 걸쳐 src구조로 이루어진 기초로 전달되어 기둥을 통해 하중을 지탱한다.
구성된 공간의 형태와 대공간의 규모, 녹지와의 연결과 확장은 위 이미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도심면'의 입면은
거대한 대공간을 드러내며 공간의 매스감과 대비된다.
또한 매스에는 트러스의 형태를 내보이며 이를 삼각 보이드로 쪼개어 드러내면서 햇빛이 갈라내어 내부로 들여 나뭇잎 사이로 쪼개어 들어오는 햇빛을 형상화했다.
'녹지면'의 입면은 하나의 경사면으로 인식된다.
이는 확장되는 녹지를 시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5. PLAN
5-1. SITE PLAN
경사를 가지는 매스의 형태와 이 경사면에 배치된 프로그램으로 인해 발생한 공간들이 만들어낸 단차는 녹지와 같은 레벨로 형성되어 소공원에서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하며 햇빛이 비교적 잘드는 남동쪽 면을 적극적으로 비워 낼 수 있도록 형성했다.
5-2. SECTION PLAN
단차는 내부의 녹지형성에도 영향을 주고 받으며 시각적 녹지와 체험적 녹지, 두 가지 성격의 녹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 두 녹지는 공간을 공유하면서 공간의 조건에 따라 그 규모를 달리한다.
이는 단면을 통해 층이 높아지면서 슬라브가 감소하는 것으로 인해 체험 녹지의 규모가 낮아지고 시각적 녹지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통해 확인된다.
6. PROGRAM
6-1. FLOOR PLAN
<1F>
소공원의 레벨을 맞추면 내부 천고를 확보하고자 발생한 내부 단차를 수직 동선이 아닌 하나의 경사면(언덕)으로 형성하여 1층내에 하나의 대지가 발생한다.
이 대지는 녹지에 부피감을 주며 시각의 단절을 의도하여 강당과 열람실과 같이 안쪽에 배치된 프로그램에서 경험과 대비된다.
또한 식물원을 관람의 장소가 아닌 체험의 공간으로 이용하고자 셀프 북카페를 배치하여 식물원 내 허브, 꽃, 잎을 따 직접 차를 만들어 보는 경험을 제공한다.
<2F>
녹지와 직접 연결되어 녹지에 설정된 오디오북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자료실이 배치되며
유아의 합리적인 사고력,창의력 증진을 위해 넓은 공간을 제공하고자 녹지와 연결되는 2층에 유아,어린이 자료실이 배치된다.
이때 디지털 자료실과 어린이 자료실 사이에 발생한 동선은 이동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책을 마주치며 여행해나가는 하나의 여정이 되도록 하고자 일반 자료실이 배치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자료실과 어린이 자료실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끊임없이 책과 마주치며 새로운 책들을 마주해 나간다.
<3F>
체험녹지와 시각녹지의 비율이 비슷해지면서 이두가지 녹지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강의실과 체험공간으로 이용될 다목적실이 배치된다. 이 공간에서는 다양한 강의와 함께 화분만들기, 식물배양하기 같이 식물원과 관련된 체험 활동들이 일어난다.
<4F>
외부 동선이 내부공간과 한번에 이어지지 않는 층으로 외부인의 출입이 가장 적다는 특성을 살려 식물원과 도서관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직원들의 관리실과 휴게실 사무실이 배치된다.
<5F>
보존서고를 배치되며 식물원에서 진행된 연구 자료들이 보관되는 공간이다.
이때 이 공간은 자료의 보관실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배양 결과물들을 전시하여 관람하게 하는 것으로 전시를 통해 흥미를 유발하고 관련자료를 찾아 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완성된 공간들은 대공간의 수직적 개방감을 통해 내부 활동들이 투영되며 내부 활동이 하나의 파사드를 형성하고
외부 녹지에 배치된 수직 동선들은 단차를 시각적으로 완화하여 하나의 경사로 인식 시킨다.
지하 층의 주차 공간은 지상의 썬큰을 통해 지하내부에도 햇빛을 들여 간접 채광에 특화된 식물들을 배치된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환경파괴에 대한 문제에 경각심을 가지고 이를 완화하는데 사용자가 기여하는 경험을 부여하고 이로 인해 전기실과 기계실이 지하1층에 배치된다.
하중 지탱을 위해 배치된 구조의 길이로 인해 발생한 지하 2층은 여유로운 주차 환경을 제공한다.
지하층의 총 주차 대수는 38대로 장애인 주차 4대를 포함한다.
이때 각 주차장의 층고는 구조의 깊이를 이용해 6000, 5000으로 층고를 설정하여 서적을 옮기거나 식물을 옮기기 위한 차량이 이용할 수 있도록 여유로운 천고를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