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 조원 : 권세은, 김현규, 이승민, 이승연, 정혁주 Index 1. Concept 2. Diagram 3. Module 4. Variation 5. Algorithm 6. Model
1. Concept 비둘기들이 저희에게 혐오감을 일으키는 새로 인식된 가장 큰 이유는 배설물 때문이다. 그들은 서울에 약 45000마리의 많은 개체수로 존재하고 있고, 이 많은 개체수의 배설물들은 공기중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많은 비둘기들의 개체수를 조절하고, 배설물들을 처리하는 방식을 고려했다. 이 때 비둘기집들의 레퍼런스를 고려했는데, 모든 집들이 지상에 거대한 스케일로 지어져 있어서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는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비둘기집은 스케일 문제도 해결하고 혐오감도 해결할 수 있게끔 지하로 묻는 방법을 택했다.
2. Diagram 비둘기들이 어디에 많이 모여있는지 그리고 어디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해 조사했다. 1인당 공원 면적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국에서 서울의 구별의 구체적인 데이터로 환산하여 1인당 공원 면적이 적을수록 공원에는 사람들이 모일 것이고, 그만큼 비둘기가 먹을 수 있는 먹이가 많으므로 비둘기들이 많다라는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1인당 공원 면적은 그 지역의 공원 면적을 지역의 인구수로 나누어서 계산하여 구체화시켰다.
3. Module 비둘기 집의 기초 모듈이 될 비둘기의 크기와, 비둘기 한 마리당 필요한 영역에 대해 조사했다. 비둘기의 크기와 날개를 펼쳤을 때를 고려하여 72㎤라는 크기를 도출해냈고, 이를 기반으로 비둘기집의 입구의 크기와 전체적인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이때, 비둘기들을 날아다니는 새에 한정시키지 않고 걸어다니는 부분도 고려하였다. 따라서 비둘기집의 입구는 걸어가는 곳과 날아서 들어갈 수 있는 곳을 각각 만들었다.
4. Variation 비둘기 개체수에 따라 변화하는 외형을 고려하였다. 비둘기 한 쌍의 둥지와 같은 레이어를 비둘기 한쌍이 지내는 집의 필요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약 1㎡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1인당 공원 면적을 비둘기들의 수로 환산하여 비둘기 집의 크기를 각형을 통해 설정하였다. 예를 들어 6쌍의 비둘기들이 있는 공원이라면 육각형의 형태를 통해 각 면에 1쌍씩 살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 1면에 1쌍의 비둘기만이 살 수 있도록 한 이유는 배설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자이다. 또한 변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수평적으로 스케일이 늘어나게 해서 많아진 비둘기들이 날아다닐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개체수 조절과 배설물 처리를 위한 레이어의 variation이다. 개체수 조절을 위해 알을 레이어 밑으로 떨어트려 깨트리는 방식을 고려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둥지와 유사하게 나뭇가지가 얽힌 느낌의 레이어를 만들어 그 사이의 간격을 두 분류로 나누었다. 첫번째는 비둘기의 알의 크기의 최대치보다 큰 4㎠2의 크기를 뚫어서 알이 떨어지고 배설물도 떨어지는 레이어를 만들었고, 두번째는 알의 크기의 최소치보다 작은 3.6㎠의 크기를 뚫어 알은 안 떨어지고 배설물은 떨어지는 레이어를 만들었다. 두가지 레이어를 각 면에 랜덤하게 배치하여 개체수 조절과 배설물 처리를 동시에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비둘기집의 깊이에 대한 Variation이다. 비둘기들이 살기 적합한 온도가 15도인 점을 고려하여 각 지역의 지중온도를 비교했다. 지중온도의 경우 지하 180m가 되기전 15도로 수렴하는 점을 고려하고 지하 3m의 지중온도를 비교하여 온도가 높은 쪽은 빨리 수렴할 것이므로 깊이를 얕게 하고, 낮은 쪽은 늦게 수렴할 것이므로 깊이를 깊게 만들었다.
5. Algorithm variation을 고려해 grasshopper definition을 만들었다. polygon과 scale bar를 통해서 4•6•8••• 각형 수를 조정할 수 있고, Loft를 통하여 높이에 대한 Scale을 조절할 수 있다. series, list item을 통해 레이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사진에서처럼 비둘기 개채수가 많고 지중 온도가 높으면 각형 수가 많고 깊지 않은 형태, 비둘기 개채수가 적은 반면 지중 온도가 낮으면 각형 수가 적지만 깊은 형태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총 8가지 경우의 수에 따라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1. 비둘기 개체수가 많다/적다 2. 지중 온도가 높다/낮다 3. 알 간격이 큰/작은 지역이다
6. Model 비둘기집의 레이어는 레이저 커터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수작업으로 제작했다. 6각형 형상의 비둘기집을 만들었고, section view로 모델을 제작하여 비둘기집의 형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어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승민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