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건축주 II. 발전과정 III. 공간간의 관계 IV. 도면 V. 패널 I. 건축주 건축주는 여사님이다. 과거에 조경업자였던 건축주는 취미 삼아 유용한 정보를 올리다가 YouTube와 소셜미디어에서 커져서 사업을 확장하여 현재는 웹사이트에서 식물 판매하고 계신다. 소셜미디어 매니저, 웹사이트 직원, 온실 관리자들과 긴밀한 협조를 위해 매일 집에서 미팅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건축주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첫째, 많은 양의 식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 둘째, 작업실과 생활 공간의 동선적, 시선적 분리 셋째, 식물이 너무 많기에 물을 줬을 때도 바로 물이 빠지는 공간이 필요하다. 건축주의 가족 남편은 발파전문가이다. 직업의 특성상 몇 달씩 출장을 나가 있다. 하지만 딸들이 오는 방학에는 일을 잡지 않는다. 고등학생 딸과 중학생 딸은 기숙사 학교에 다니기 때문에 방학 때만 집에 온다. 집에 있을 때는 아빠와 함께 활동적인 일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 세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첫째, 함께 활동적인 일을 할 수 있는 넓은 가족 공간 둘째, 사업자들과 마주치지 않을 프라이버시이다. 각 사람에게 중요한 네 가지를 추출해서 건물의 구조를 생각했을 때에 가장 건물의 형태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은 식물이 자랄 환경이었다. 아무리 그늘에서 자라는 식물이어도 상당한 양의 빛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밝은 실내보다 그늘진 야외가 더 밝기 때문이다. 결국 직접 광과 간접 광이 야외수준이고, 골고루 분포된 공간이 필요했다.
II. 발전과정 서울의 남중고도를 분석해 여름과 겨울의 중간에 있는 봄, 가을의 남중고도로 건물의 형태가 생겨났다. 태양의 남중고도뿐만 아니라 건축물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태양 빛을 받아드리게 하기 위해 태양의 길을 분석한 것을 사용했다. 3차원 적으로는 접시처럼 생긴 태양의 길을 반영했다. 해의 길을 반영할 때에 그 논리가 옥상에는 적용되지만, 내부에는 적용되지 않는 점이 부족하다고 여겨 건물의 중앙을 뚫어 내부에도 햇빛이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했다.
이 형태는 사람이 살기에는 선형적인 형태를 띠었기에, 사이트의 형태에 맞추어 형태를 바꾸었다. 바뀐 형태에서 건축주가 필요한 요구사항을 모두 받아드렸을 때 지하로 한 층이 생겼기에 건물 매스에 대칭된 형태로 아래에 덧붙여져 지하층을 지상으로 올렸다. 마지막으로 주차장을 제외한 모든 공간을 활용하며 건물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현 사이트에 서 있는 건물에서 가장 아쉬웠던 점은, 서울시립대학교 주차장과 맞은편 공원 사이에 서울에서 보기 힘든 아름다운 녹지가 이어져 있는데, 그것이 건물로 인해 시선 적으로 막혀있는 것이었다. 이 건물을 통해 녹지 간의 시선도 잇는 확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III. 공간간의 관계 우선, 사업자들의 동선이다. 외부인이 차를 타고 들어오면 작업실로 바로 들어가게 된다. (작업 중) 결과적으로 해 길의 집은 먼 동선을 줌으로써, 작업실과 생활공간의 분리를 이루었고, 식물을 통해 만남도 일어나고 시선이 안으로 모이기도 하면서 시선적 분리도 이루는 장치가 되었다.
IV. 도면
V. 패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조예솔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