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례조사를 했던 건물은 Marika-Alderton House이다. 우선 이 건물은 호주북부의 원주민 마을인 Yirrkala에 있다. 이 지역의 특성화된 부분은 예술이다. 그리하여 마을에는 전시회, 예술가의 연구회 등이 있는 예술 센터가 있다. 그러나 이곳에는 일반인들이 참여하거나 할 수 있는 예술 활동이 없다. 그래서 Annex 프로그램을 일반인들과 예술을 함께 할 수 있는 공방 및 작업실로 하기로 정했다.
> 문제점
그 다음 건물에 필요한 것을 탐구했다. 기존의 건물은 자연환기와 환경에 대한 우수한 적응이 특징이다. 그런데 평면을 통해 환기가 잘 안되는 구간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 부분은 화장실과 침실 4개가 있는 공간이다. 화장실은 사적이어야 되기 때문에 벽으로 되어있는데다가, 그 뒤에 침실이 오고 사생활을 위해 문이 위치하여 벽의 레이어가 많이 생기게 되었다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도 해결해야됨을 느꼈다.
> 공간 배치
1번 배치는 기존 건물의 배치다. 2번은 프로그램 공간을 생각하고 거실의 연장선이 되도록 배치한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 앞서 말했던 환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3번의 배치로 바꾸게 되었다. 이는 문제가 되는 침실과 화장실을 Annex로 만들고, 프로그램 공간을 본건물 안에 배치한것이다. 외부인들로부터 사생활을 보호하고자 가족공간과 프로그램 공간의 입구를 따로 하기로 결정했는데, 거실과 프로그램 공간이 붙어 있으면 시선보호가 안된다고 생각하여 비교적 닫힌 공간이 될 수 있는 안방을 통해 프로그램과 가족공간을 완전히 나눴다. 이것이 본건물에서의 최종 배치이다.
> Annex 배치 - 침실
사생활이 보장되어야 하고, 기존 건물에서 환기가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고자 바람이 부는 남-북 방향으로 열려 있어야 하며, 통풍을 극대화하고자 방 앞에 다른 방이나 그 외에 방해물들을 놓을 수 없다. 내가 해결해야 될 문제는 평면상으로 수평적 배치가 된 4개의 방을 들어갈 때, 다른 방을 볼 수 없는 배치를 찾는 것이었다.
> 문제 해결
통로를 지나 중앙 복도를 통해 각 방으로 들어가는 매스를 구성했다. 복도에서 방을 볼 수 없도록 1층 방 창문은 1.5층 높이의 복도 아래에 위치시켰고, 2층의 창문은 복도로부터 성인 남성의 키만큼 위쪽에 두어 안을 잘 보지 못하도록 하였다.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통풍성을 강화시킨 것이다.
> Annex 특징
기존 건물의 특성을 유지하고자 건물을 위로 띄우고, 지붕을 길게 뻗고,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며 통풍이 잘되도록 건물을 만들었다. 바뀐점은 지붕과 발코니다. 지붕에 따로 굴뚝을 달지 않고 형태로써 벤츄리 효과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길게 뻗은 지붕아래에 기존 건물과 같이 확장성을 갖도록 마루를 두었다.
여기서 차이점은 평면에서 보이듯 폴딩도어를 통해 사적,공적 공간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