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Form, Space, & Order (건축의 형태공간 규범), Ching, Francis D. K. ~92p. 까지 읽고 삽화 트레이싱하는 프로젝트입니다.
< 건축 형태와 규범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 이은석 건축 형태와 규범은 공간을 규정하고 제시한다. 그러므로서 공간은 정체성을 확립한다. 예를 들어 폭이 좁고 길이가 길며 문이나 창문이 많은 공간은 복도라는 정체성을 가진다. 만약 바닥을 곡면으로 구성한다면, 그 공간은 보행자의 동선을 제한하기 때문에 보행하기에 부적합함이란 정체성이 확립된다. 이러한 공간의 정체성 규정은 더욱 거시적인 관점에서도 적용된다. 구조물을 공터를 중심으로 길게 둘러싸게 건축한다면, 공터는 다른 외부공간과 달리, ‘내부’라는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 위와 같이 공간에 부여된 정체성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식 가능한 공간 정체성은 바닥 곡면의 예처럼 사용자의 행동을 제한할 수 있다. 내부 공터의 예시에서도 그렇다. 내부 공터는 다른 공터와 달리 외부인이 이용하는 것에 배타적이다. 이처럼 건축 형태와 규범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실재한다. 일반적으로 집단적인 형태를 구분할 때의 가장 근본적인 기준은 규칙성의 유무이다. 먼저 규칙적인 형상은 보통 공간 정체성을 쉽게 유추하게 한다. 또한, 방향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기에 공간의 의도를 쉬이 알 수 있다. 이렇게 파악하기 쉽다는 공간의 특성은 사용자에게 안정감과 익숙함을 준다. 반대로 불규칙한 형상은 공간의 정체성이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앞에서 말한 곡면 바닥의 예에서도 바닥을 곡면으로 제작한 의도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한 특성 때문에 불규칙한 형태는 사용자에게 어색함을 강하게 주장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 사용자가 공간 정체성 확립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기 때문에 더 역동적이다.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형태는 규칙적이라고 인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불규칙한 형상을 응용하여 그 성질을 바꿀 수 있다. 그것은 복수의 형태에 대해 모종의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의 방향성을 가진 배열일 수도 있고, 기준에 대해 대칭적인 배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규칙은 관찰자의 시야에 전체적인 모습이 그려져야 한다. 그래야 관찰자의 관심이 형태의 불규칙에서 집단의 규칙으로 옮겨질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규칙에 따라 배열을 해도 관찰자가 규칙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규칙을 찾기 어려울 만큼 시야가 제한되었을 수도 있다. 또는, 규칙이 그 자체로 너무 복잡할 수도 있다. 또한, 시야를 제한해 규칙성과 불규칙성을 조절할 수 있다. 공간은 시점에 따라 시계가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한 시점에서는 집단의 규칙을 발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계를 줄 수 있고, 다른 지점에는 반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불규칙한 개별적인 개체에 집중하게 할지, 규칙적인 배열 형태에 주목하게 할 것인지 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규칙과 불규칙의 특성을 혼재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규칙과 불규칙에서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나아가 시점에 따라 변화하는 규칙성에 심리적인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형태의 배열은 사용자의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원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기둥은 이용자의 행동이나 시선을 원을 중심으로 향하게 한다. 반면 방향성을 가지고 선을 따라 배열된 기둥은 선이 가르치는 곳으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게 한다.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기둥들은 사용자의 관심이 불규칙성으로 기울이게 한다. 더욱 자세히 말하자면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기둥 사이의 공간, 거리, 각도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규칙성과 배열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집합을 이루는 개체의 형태도 중요하다. 개체에서 보이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원, 사각뿔, 직육면체, 구 정도가 있다. 이렇게 단순한 기본도형은 그 자체로 명확하고 아름답다. 하지만, 단순 입방체의 건축 형태는 기본도형과 성질이 다르다. 기본도형과 유사한 외관은 관찰자의 인식 속에서 원형으로 회귀하려고 한다. 따라서 필요성에 의한 변형은 원형을 위배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도형의 명확성과 미적인 기준을 충족시키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와 아름다움은 별개에 있다. 관찰자는 단순 입방체 형태에서 기본도형을 찾고 그 원형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형에서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변형된 체계에서 원형을 이해해도 공감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보통은 기본체를 합하거나 감하거나 교차하는 변형을 통해 도출된 형태를 사용한다. 이는 원형의 자체완결성을 벗어나 새로운 미적 기준을 중심으로 잡기 때문에 더욱 영혼을 만족시키기 쉽다. 이러한 형태는 위에서 말했던 시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배열과 다른 형태, 공간 조건과 복합적으로 작용된다. 여기에 질감, 색감과 같은 형태의 특성이 합쳐지면, 공간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공간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곡면 바닥의 예도 이것에 포함되고 보통 공연장은 원형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는 것도 이 사례에 포함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은석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