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과제는 지난 과제의 모형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시립대학교 내의 부지에 배치하는 것입니다.
지난 과제에서 저는 '계단'에 주목하여서 위로 상승하는 형태의 떠있는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이 떠있는 부분에 대한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 아래부분을 '물'로 설정하였고, 이 건물의 프로그램을 물을 감상하며 쉬다갈 수 있는 '전망대'로 정하였습니다.
사이트를 정하면서 제가 물 다음으로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주변과의 '접근성'입니다. 저는 이 힐링공간을 학교 내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상속에서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공간에 배치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정한 사이트가 중앙로의 끝 부분에서 이어진 차도 넘어서 있는 연못 앞입니다. 이 곳은 중앙로에서 이어져있음과 동시에 후문과 중앙도서관, 기숙사와도 인접해서 제 건물에 있어 최적의 장소라고 생각했습니다.
사이트를 정하고나니 문제가 생겼습니다. 지난 과제2에서 제 모형은 대지가 평평하다는 가정하에 설계되었는데 이 곳은 기숙사로 넘어가는 길이 언덕이라 경사가 있습니다. 평평한 장소에 배치하려면 튀어나온 계단 두 개가 차도를 가로막아서 어쩔 수 없이 모형을 대지에 맞게 변형할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기존의 평지에 있던 두 계단을 통한 진입로 대신에 계단을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경사면을 활용할 방법을 고민하다 브릿지 형태로 모듈을 하나 추가하여 경사면에서도 바로 건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다만 중앙로쪽 진입로에서는 안쪽과 바깥쪽 중 어디로 올라갈지 정할 수 있는 반면에 기숙사쪽에서는 진입로가 안쪽 하나밖에 없습니다.
인체와 치수를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에 창문을 내려고 노력했습니다.
시립대 배치도에 제 모형의 지붕평면도를 배치해본 모습입니다. 중앙로에서 이어지는 1층 진입로와 중앙도서관 쪽에서 이어지는 2층 진입로가 접근성을 높여줍니다.
외부콜라주입니다. 사이트에 맞게 지난 2차과제에 비해 모형이 많이 변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면모델은 흑백, 랜더링모델은 칼라로 콜라주해보았습니다.
랜더링 모델입니다. 벽체는 노출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상승하는 육중한 형태의 구조물임을 상징했습니다. 내부는 나무데크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사이트 주변에 나무가 많다는 점에서 착안했습니다. 제 건물의 흥미로운 점이 내부와 외부로 돌아다닐 수 있다는 점이기에 두 공간의 나무데크의 색을 구별해주었습니다. 내부는 따뜻한 느낌의 갈색을, 외부는 약간 차가우면서 노출콘크리트와 잘어울리는 색으로 설정했습니다.
3층의 내부공간에서 본 모습입니다. 노출콘크리트가 자연스럽게 의자가 됩니다. 이용자는 이곳에 앉거나 누우면서 연못 옆에서 힐링할 수 있습니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주는 나무계단도 보입니다. 이용자로 하여금 내부에서 외부로 갈 때 긴장감과 설렘을 가지도록 하기위해 계단은 좁고 노출콘크리트벽으로 막힌 공간으로 만들었습니다.
2층입니다. 내부공간은 이와같이 나무데크가 자연스레 의자가 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습니다. 틈틈이 창문을 내서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였고 물을 실감나게 느낄 수 있도록 계단은 틈이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차례대로 1층, 2층, 3층, 지붕 평면도입니다.
1층에서 이용자는 두 진입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왼쪽을 통해 진입하면 내부로 오른쪽을 통해 진입하면 외부로 통합니다. 랜더링에서 보여주었다싶이 두 진입로의 나무바닥 색이 달라 더욱 신선한 느낌을 줍니다.
2층에서의 포인트는 내부공간의 가구배치입니다. 나무데크가 자연스럽게 의자로 변해 이용자의 쉼터 역할을 해줍니다. 또한 중앙도서관쪽을 통해 진입하면 계단 아래 공간을 화장실로 활용하였습니다.
3층에는 내부와 외부를 이어주는 계단이 있습니다. 또한 3층 내부공간에는 통창을 내어 개방감을 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붕평면도를 보면 이 건물이 수많은 계단으로 이루어져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중앙도서관쪽 진입로에서 자른 단면도입니다. 나무바닥이 의자로 변해 이용자의 힐링을 도와줍니다. 이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은 외부와 다르게 내부는 틈이 있는 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내부에서 이용자가 물을 더 가까이서 느낄 수 있도록 틈이 있는 계단을 사용했습니다. 단면도의 맨 오른쪽을 보면 벽체를 구성하는 노출콘크리트가 자연스럽게 의자로 연결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벽체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어서 하나로 연결되어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중앙로에서 바라본 입면도입니다. 벽체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어서 같은 효과를 띠는 벽체끼리 이어져 있고 그라데이션이 끊기면 서로 다른 벽체임을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