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2 _ 삼청동전시관(Samcheongdong Museum) 종로구 삼청동과 팔판동의 지정된 구역 내에서 대지를 선정하여 도시분석 후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의 주제와 성격을 규정한 후 디자인 개념을 발전시켜 전시시설의 설계안을 제시한다. 빛의 효과를 이해하고, 빛을 조절하기 위한 구축적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 분석한 선례조사를 공간개념에 적용한다. 대지B: 종로구 삼청동 80, 88, 92, 95 일대 (약 700m2) - 건축물 연면적 900m2 +/-10%, 주차대수 6대, 코어포함 3개층 이상으로 계획 - 제1종 일반주거지역(건폐율60%, 용적률150%), 북촌지구단위계획지구, 높이제한 16m이하
1. SITE ANALYSIS
- 주변 건물의 용도와 사이트 주변의 상황을 정리했다. 특히 인구 밀집을 정리한 것을 보면 다른 두 길보다 삼청로 쪽이 인구의 밀도가 더 높은 걸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이트 앞에 소규모의 광장이 있어서 매스를 스터디 할 때 북쪽에서의 진입 가능성을 만들어 사이트와 연결해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2. CONCEPT
- 전시시설의 프로그램은 사진 전시관이고 주요 내용은 삼청동 일대의 거리를 사진으로 담아 이를 전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시를 하는 이유는 삼청동 거리를 즐기려 오는 분들도 있고 또 사진을 찍으려고 오는 분들도 있는데 이러한 경험이 추억이고 과거가 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사진을 찍는 행위가 곧 과거를 담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러한 사진 작품을 관람하는 사람들에게 흥미 또는 회상을 심어줄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이렇게 됐을 때이 전시관이 결국 과거 기억의 집합체가 되고 현대 거리 중심에 있는 걸 생각하면 전통과 현대의 특색이 어우러진 삼청동처럼 시간 관계에 있어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 이름을 따올 때는 과거의 PAST, 사진의 PHOTO에서 앞글자 P를 따왔다. 그리고 여기에 의미를 더해보았는데 p.p가 영문법의 과거분사를 나타내고 그 의미가 과거의 행위가 현재까지 이어진다는 점이 설정한 주제와 맞아서 GALLERY P.P.로 이름을 정하게 되었다.
3. DIAGRAM (MASS / CIRCULATION / PROGRAM)
- 초반에 생각한 북쪽에서의 진입을 위해 매스를 두었는데 이때 남북으로 길을 내주면서 자연스레 만들어진 길목을 이용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지하공간을 만들고 위의 매스를 쌓을 때 1층의 길목을 강조할 수 있는 효과로 중정을 이용했다. 중정을 만들어 길목에 빛이 떨어지는 경험을 기대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길목에서 만들어지는 빛의 연출을 경험할 수 있다. 이 중정의 크기는 점차 커져 더 많은 빛을 끌어들인다. 마지막 매스 단계에선 팔판길 쪽으로 향한 야외 테라스로 삼청동 일대의 주택가와 저 멀리에 경복궁 담을 보게 된다. - 완성된 모델의 내외부와 메인, 서브 동선을 표현했다. - 각 층의 프로그램과 비율을 나타냈다.
4. SITE PLAN / PLAN
- 1층에 홀과 로비가 위치해 있고 길목에서 빛을 이용한 공간적 경험을 즐길 수 있다. 지하에는 광장과 사무적인 공간을 배치했다. 2층은 메인 전시실 3개로 프로 작가들의 사진전을 생각하고 있고 3층은 복도형 전시로 일반 시민들의 사진을 보여줄 생각이다. 마지막 4층은 넓은 휴게 공간으로 전시를 마친 후 쉼의 공간을 마련했다.
5. SECTION / ELEVATION
6. SECTIONAL PERSPECTIVE VIEW
- 공간의 연결을 보여준다.
7. RENDERED
- 북측에서 바라본 뷰, 길목에서 바라본 뷰, 2층 메인 전시실 뷰, 3층 계단으로 올라와 볼 수 있는 뷰 - 마지막 사진과 같이 사진 전시관의 주제와 맞게 넓은 창을 내어 액자에 걸린 것 같은 느낌을 주고 건물 중정에서 이루어지는 빛의 다양함을 볼 수 있다.
8. MODEL
9. PANEL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조민규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