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ITE ANALYSIS SITE A는 종로구 팔판동, SITE B는 삼청동으로, 주위에 갤러리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클러스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주거 건물과 주거 외 건물을 구분하여 사이트 내에서 B 사이트 부근이 좀 더 상업적인 공간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URBAN PARTI MODEL을 제작하여 골목길 위주로 사이트 분석을 했다. 1:1000 SCALE로 제작하여 골목길의 전제적인 모습을 다 담으려고 했고, 지도 전체를 한번에 봤을 때 생각 했던 점은골목길과 인접하고 있는 건물들이 있는 블럭들이 전시장의 형태이고 그 안의 건물이 전시 대상인 것처럼 보였다. 골목길이 중심 컨셉으로 길이 강조되었으면 하여 주황색으로 표현했다. 가운데로 쭉 뻗은 길을 메인 동선, 중간중간에 나 있는 골목길이 서브 동선으로 해석했는데, 메인 동선에서 이런 골목길을 보면서 쭉 뻗은 길, 휘어진 길 등 불규칙적인 골목길에서의 시선의 변화를 느낄 수 있고, 그 골목길이 끝나고 나오는 오픈 스페이스에도 주목했다.
2. PROGRAM 프로그램은 카메라 갤러리로 선택했다. 삼청동에서의 다양한 경험 중 사진 찍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었고, 이 경험 자체도 건물 내에서 일어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추가로 이 삼청동이라는 동네가 북촌의 자연스러운 지형, 궁궐 등을 보면서 보존이라는 단어가 생각 났는데, 이 단어에서 사진으로 추억을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와 어울렸다. 전시 공간에서는 카메라의 종류와 체험, 사진 등이 전시된다.
3. PROCESS CONCEPT ELEMENTS 사이트 B에서 북악산, 북촌의 지형, 골목길이라는 세 지점을 잡아 조망할 수 있는 요소이자, URBAN PARTI MODEL에서 분석했던 골목길을 지난 후에 나오는 오픈 스페이스의 공간과도 어울리는 요소라고 생각했다. 또한 카메라 갤러리라는 프로그램에서 프레임적인 요소를 가져와 카메라로 어떤 뷰를 바라보며 찍을 수 있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고, 삼청동의 골목길을 건물 내에서도 경험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여 이 세가지 요소를 가져왔다. CONCEPT AND MASS DIAGRAM 북악산, 북촌의 지형, 골목길 세가지 포인트를 향해 그리드를 그려 서로 연결되고 다양한 각도를 느낄 수 있는 특정 선들을 추출하고 이 선들을 면으로 바꾸었다. 이 면을 북악산, 북촌의 지형, 골목길 방향 순으로 높이를 다르게 하여 매스를 올리고 서로 연결했다. 내부에 골목길을 들여오고 싶어 각 축의 매스끼리 중첩되는 일부를 뺀 나머지를 없애 골목길 스케일로 자연스럽게 들어올 수 있도록 형성했다. CIRCULATION AND OPENING 전시 동선과 외부 오프닝을 나타내었다. 오프닝은 매스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북악산 방향의 매스에서는 2,3층이 연결된 거대한 공간을 느낄 수 있다.
4. PLAN 1층에는 카페와 안내데스크, 사무실이 있고, 3개의 조망을 해치지 않는 남쪽 매스에 코어를 두었다. 내부에 골목길을 형성하려고 낸 길은 주위 골목길과 비슷한 스케일로 내었고, 1층은 내부에 오프닝을 두어 내부에서 건물에 들어갈 수 있게끔 했다. 2층으로 올라가면 전시공간이 시작되는데, 전시공간이자 동선이라고 보면된다. 다양하게 꺾인 코너를 돌면 창문을 통해 각각의 축으로 이루어진 매스가 응시하는 방향의 풍경들을 프레임적인 요소로 바라볼 수 있고, 이러한 복도에서 카메라로 사진을 찍거나 여러 체험을 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시계 방향으로 올라가면 계단과 데크가 있어, 데크에서는 전시품을 전시할 수도 있고, 사람들이 앉아서 체험을 하거나 공간을 조망할 수 있다. 삼청동 거리를 보며 데크를 통해 올라온 사람들은 시계 방향으로 돌아 북촌의 방향을 향해 가면 전시장의 동선은 끝이 나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 갈 때도 동선의 방향마다 창이 나 있어 올라갈 때와는 다른 공간을 조망할 수 있다.
5. SECTION 2층은 같은 층고로 형성되어 있지만, 3층은 각 축마다 층고의 차이가 있어 북악산, 북촌 지형, 골목길 방향 순으로 층고가 높아 창문 또한 이런 층고의 차이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된 모습을 볼 수 있다.
6. ELEVATION 전체적으로 1층에는 전벽돌을 사용했고, 2,3층은 콘크리트를 사용했다. 한 가지 포인트는 북촌 지형을 향하는 매스의 모습이 건물 전체를 뚫고 지나가는 듯한 느낌을 띄고 있어서 이 매스의 1층 부분은 벽돌이 아닌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표현했다.
7. RENDERING IMAGES
8. MODEL IMAGES
9. PANEL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수지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