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진 대지 내에서 개인주택을 설계한다. 학생 각자가 건축주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가족의 상황 및 +a 에 대한 성격을 구체화한다. 이 프로젝트는 건축주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 건축가의 기본적인 작업을 알아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SITE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로 137길 13-4 대지면적 : 208 m² 용적률 제한 : 200 % 건폐율 제한 : 60 %
[CONCEPT] '여생'을 즐길 수 있는 공간 집에서 나가지 않아도 시선상의 소통을 통해 즐거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주택 내 모든 공간에서 식물이 보일 수 있도록 하여 정원같은 분위기를 낸다.
1. 건축주, +a의 성격 건축주는 70대 노부부로 술을 좋아하는 할아버지와 식물을 좋아하는 할머니이다. 이 두 사람은 이웃들과 함께 어울리는 것을 좋아한다. 이에 할아버지를 위한 술 작업실과 할머니를 위한 정원을 조성하고, +a로 이웃들과 술과 음식을 나눌 수 있는 잔치 공간을 만드려고한다.
2. 사이트 분석 1) 햇빛 대체적으로 햇빛을 잘 받는다. 동서방향으로는 대략 15 m 높이의 도서관과 원룸 주택이 위치하여 이들로 인해 아침과 오후 늦게 그림자가 지기 시작한다. 남쪽으로는 대략 7 m 높이의 주택이 있는데 이는 사이트에 받는 햇빛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바람 바람은 남서풍으로 부는데 남쪽의 낮은 주택과 건물 간의 틈으로 인해 사이트에 바람이 잘 분다. 3) 길 사이트의 북측으로 큰 대로변이 있어 여러 사람들이 지나다닐 수 있고 남측으로는 주택가 사이에 놓인 작은 길이 존재한다.
3. 공간의 배치 주택은 총 3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1층은 +a, 2,3층은 주거공간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작업실, 정원, +a 는 사이트 환경을 토대로 하여 공간을 배치하였다. +a 는 이웃들이 쉽게 접근하고 안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북측 도로면과 맞닿게 배치했다. 정원은 남측으로 햇빛과 바람이 잘 부는 방면에 배치했다. 작업실은 햇빛이 덜 들면서 바람이 잘 부는 곳에 배치했다. 주택의 중심에 수직적으로 긴 화단을 두고 이를 감싸는 형태로 공간을 구성하여 어디에서든지 할머니의 정원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의도했다.
4. 공간 간의 관계 1) +a & 취미공간 잔치를 열 때 작업실에서 술을 가지고 오는 접근이 용이하고, +a 공간이 부족할 때는 1층의 정원까지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또한 노부부가 취미생활을 할 때 넓은 작업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두 공간을 밀접하게 연결하려고 한다. 2) 취미 & 주거공간 취미공간에 관련된 용도인 주방이나 창고는 연결시키지만, 그 외의 공간은 개인적인 느낌을 주는 등 부분적인 연결을 목표로 한다. 3) 주거공간 & +a 주거공간은 둘만의 개인적인 공간이고, +a는 이웃들도 함께 쓰는 공용의 공간이므로 서로의 성격을 보존하기 위해 두 공간을 단절시킨다.
5. 동선 전체적으로 1,2층의 원활한 교류를 위해 순환동선을 구성했고, 3층은 개인적인 공간의 느낌을 위해 1방향 통로로 구성한다. 부가적으로 1,2층의 순환동선은 부부의 원활한 이동을 도와, 엘레베이터를 대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6. 공간 구성 공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층은 +a 공간과 정원, 계단실, 주민들을 위한 화장실, 주차장 1.5층은 할아버지의 작업실 2층은 주방과 창고 3층은 화단과 침실, 거실, 베란다, 화장실, 세탁실로 이뤄진다.
7. 시선 상의 소통 주택에서 이뤄지는 시선 상의 소통을 외부와의 소통과 주택 내의 소통으로 나누었다. 1) 외부와의 소통 입면에서는 입구가 액자같은 역할을 하여 정원과 +a 공간이 한눈에 보이는 긴 뷰를 보여준다. 이는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어 자연스레 들어와 노부부와 얘기도 나누고 구경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로변과 마주하는 입면에는 가로로 긴 창들을 통해 이웃사람들과 인사를 건네거나 잔치를 벌일 때 이웃들이 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배면으로는 수직적인 정원이 눈에 들어온다. 여기서 주택과 정원이 맞닿은 부분의 재질을 폴리카보네이트로 하여 밤에 빛이 은은하게 흘러나와 외부에서, +a 공간에서 볼 때 좋은 광경을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 전체적인 재료에 대해 언급하면 전체적으로 흰색 톤으로 건축물을 설정하여 내외부에서 볼 때 정원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3층의 화단은 측면의 원룸주택에서의 시선 상에 들어온다. 원룸 주택 내에서는 화단의 농작물이 자라고 있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어 간접적으로 주택과 소통할 수 있다.
2) 주택 내의 소통 노부부 각각의 개인적인 취미공간을 보장하지만 혹여나 발생할 응급상황과 소통을 위해 서로를 쉽게 보고 부를 수 있게 구현했다. 1.5층 작업실의 모서리 창에서 1,3층의 할머니의 정원을 바라보고 있어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주방 쪽으로 작업실 매스가 1.2 m 올라오는 부분에 창을 내어 주방에서 할머니가 있을 때 창을 열어 부를 수 있고 할아버지가 물건을 빨리 전달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침실이나 베란다에서도 정원이 한눈에 보임으로써 소통에 원활한 작용을 한다.
8. 구조 구조적 안정을 취하기 위한 방법이 두가지 있다. 3층 화단을 받치기 위해 길고 두꺼운 기둥벽을 세우고 계단실로 활용하였으며, 디자인적 요소를 위해 벽 중간중간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화분이나 조형물을 놓을 수 있게 하였다. 작업실로 가는 길에는 얇은 기둥으로 된 루버가 외부의 시선을 어느정도 차단한다. 또한 루버를 통해 공간을 지날 때 시선적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으며, 통풍도 원활하게 하였다.
9. 도면
10. 최종 패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조수현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