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lient 30대 중반의 남성 세 명으로, A씨는 디자이너, B씨는 작가이고, C씨는 독서가 취미인 카페 사장이다. 클라이언트들의 직업과 취미를 고려해 플러스 알파 프로그램을 도서관과 작업공간으로 설정했다.
2. Site analysis ‘플러스 알파 공간의 주 사용자가 누가 될 것인가?’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고, 클라이언트들 다음으로는 학생들이 많이 이용할 것으로 생각했다. 사이트 분석결과 학생들은 주로 사이트의 동쪽 길을 사용하고 있었고, 따라서 저는 건물이 동쪽으로 좀 더 관계를 맺는 방향으로 설계를 진행하고자 했다.
3. Program 도서관과 작업공간, 그리고 기본 프로그램인 주거공간까지 세 공간들의 관계를 공적인 정도에 따라 정리한 것과, 각 프로그램들을 세분화하고 그 프로그램들의 관계를 정리한 것이다. 마지막은 최종적으로 건물에서 표현된 프로그램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4. Mass process 기본 박스를 주거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분리하고, 공용공간 매스의 중간부분에 보이드를 만들어 매스를 둘로 나누고 그 사이에 동선을 배치했다. 이후 공용공간의 매스를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맞춰 스킵플로어의 형태로 나누었다. 마지막은 매스에 프로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5. Flow plan 동선 공간은 분리와 연결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갖는다. 분리는 사적 공간으로 향하는 동선과 공적 공간의 동선의 분리를 가리킨다. 연결은 동선 부분이 서로 다른 두 프로그램 사이에 있어 두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비어있는 공간이라 시각적인 연결을 만들어내는 기대 효과를 의미한다. 다음은 동선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갖는 효과이다. 건물 밖의 도보와 바로 연결되어 1층뿐만 아니라 더 높은 층에 위치한 공공 공간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했다.
6. Space 각 공간이 구체적으로 어떤 공간인지, 어떤 활동이 일어나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1층, 반지하층 도서관. 접근성이 가장 좋다. 사람들이 책을 찾기 위해 계속해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활동적인 공간이다. 반지하층의 경우 외부에서는 인지할 수 없고, 1층에서만 접근할 수 있으므로 모두에게 열려는 있지만, 사람이 많은 공간은 아닐 것이다. 1.5층 열람공간. 여러 사람이 각자 독서를 하는 공간이며 장시간 머물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사용 인원과 가구 개수를 생각해보면 밀도가 높고 퍼블릭한 공간이다. 다만 이용자들 간의 소통은 잘 일어나지 않는 차분한 공간이다. 2층 개인작업공간. 개인이 장시간 머무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열람공간과 유사하나,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분위기로 활발한 소통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이다. 2.5층 테라스. 누구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퍼블릭한 공간들을 잇는 동선과 사적 공간인 집으로 연결되는 동선이 만나는 부분이다. 3층 단체작업공간. 서로 아는 사람들끼리 사용하며, 그 안에서 생기는 일 역시 활발한 활동이라 활발한 공간이 될 것이다. 이용자를 특정 그룹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공간이 사용 중일 때는 사적인 공간이 될 것이다. 중앙 동선. 스킵플로어 구조의 동선을 풀어내기 위해 계단의 참에서 계단의 축을 이동시켰다. 따라서 동선이 단순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로의 방향성도 갖게 되었으며 계단의 이용자는 자연스럽게 좌우로 시선이 이동해 건물 내부를 보게된다. 4층 주거공간은 아래의 도면에서 이야기하겠다.
7. Plan 순서대로 반지하층과 1층의 평면도, 1.5층과 2층의 평면도, 2.5층과 3층의 평면도, 4층의 평면도이다. 4층 주거공간. 테라스에서 계단을 통해 4층으로 올라오게 되면, 공용공간인 거실 겸 주방으로 연결된다. 클라이언트들은 공용공간을 지나 각자의 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래쪽에 보이는 방 세 개는 순서대로 작가, 카페 사장, 디자이너의 방으로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반영해 위치와 가구 배치를 정했다. 작가는 외부의 영향이 적은 방을 원했기 때문에 공용공간과 거리를 두었다. 카페 사장은 외출이 가장 잦은 사람으로 계단에서 가까운 곳에 방을 두었다.
8. Section 단면도에서는 건물 전체의 스킵플로어 구성을 볼 수 있다.
9. View image 1) 실제 진입로에서 볼 수 있는 시야를 잡고 그 모습을 렌더링한 것이다. 외부 텍스쳐로는 콘크리트와 유 글라스를 사용했다. 1층은 외부의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유리를 사용해 오픈을 시켰고, 2층과 3층은 공적인 공간이나 외부와의 관계는 1층만큼 긴밀하진 않기 때문에 유 글라스를 입면에 사용했다. 4층 주거공간은 사생활을 위해 콘크리트를 사용해 닫힌 입면을 만들었다. 2) 중앙의 동선 공간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3) 1.5층에서 중앙 동선 공간을 통해 보이는 1, 2층의 모습이다.반지하 층에서 남쪽의 창을 통해 실내로 빛이 들어오는 장면의 이미지이다. 4) 반지하 층에서 남쪽의 창을 통해 실내로 빛이 들어오는 장면의 이미지이다.
10. Panel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위영진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