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2 더불어 살기(주거+알파) ✔주어진 대지에 단위주거를 계획하되 건축주는 더불어 사는 것에 대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두 개의 다른 성격의 주거를 연계하는 공간(알파스페이스)에 대한 성격은 각자 제안한다.
CONTENTS 1. Site Analysis 2. Client 3. Concept 4. Plans 5. Section 6. Elevation 7. Inner Shots 8. Final Presentation 9. Final Panel
1. SITE ANALYSIS
주택의 사이트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로 37길 13-4이다. 대지의 총 면적은 208m²이다. 주변의 소음 발생원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철로, 주점 등) 해는 건물의 남쪽 방향인 후면에서 움직인다. 건물의 매스를 대지에 올려보았을 때 건물의 세 면이 모두 주변 건물에 둘러싸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CLIENT
건축주는 4인 가족이다. 40대의 사진가와 플로리스트, 그리고 중학생 딸과 초등학생 아들이다. 한 건물 안에 주거 공간과 업무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잘 분리되어 있어야 하고 집 안에서 자연을 느끼고 싶어 하고 자신만의 공간을 원했으며, 새로운 구조와 뛰어 놀 수 있는 곳을 필요로 하였다.
3. CONCEPT
클라이언트인 네 명의 가족 구성원에게는 각자의 이유로 ‘완충 공간’이 필요했다. 따라서 이 건물에서는 여러 공간이 완충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공간 구획 방식은 벽이다. 벽은 단절의 의미만 강하다. 하지만 완충공간은 공간을 완전히 분리하기도 하면서 공유할 수 있는 연결 공간이 되기도 한다. 주택과 스튜디오 간의 완충이 필요하고 스튜디오 안에서도 프로그램 간의 완충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주택 거주자 구성원들끼리의 완충도 필요하다. 지하층부터 3층까지 전체 건물이 완충공간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이를 바탕으로 스터디한 매스의 발전 과정이다. 공간 구성과 이를 이어주는 완충공간을 보라색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이다.
4. PLANS
B1층부터 3층까지 총 4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퍼존을 보라색으로 표시한 각 층의 평면도이다.
5. SECTION
단면도와 메인 동선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4인 가족인 이 집의 실내공간의 동선은 수평과 수직으로 명확히 나뉜다. 계단을 중심으로 각 방향마다 뚜렷한 목적으로 구분되어 개인 동선이 겹치는 것을 최소화한다. 2층에는 거실, 식당, 부엌 등 주로 퍼블릭한 공간을 배치한 반면 3층에는 각 거주자들의 프라이빗한 방들을 배치하였다. 또한 이렇게 이동하며 공간의 성격이 바뀌게 될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층고를 조정하였다. 레벨이 다름으로써 공간의 성격에 따라 층고 역시 자연스럽게 달라지게 된다. 가장 퍼블릭한 공간인 거실과 가장 프라이빗한 공간인 긱 방의 층고는 1000 가량 차이 나게 된다.
6. ELEVATION
입면도이다. 스튜디오 매스의 재료는 벽돌과 콘크리트를 주로 사용하여 외부적이고 공적인 느낌을 더했고 주택 매스는 나무 바닥과 흰 벽을 이용해 상반된 느낌을 주려 매스간의 재료를 서로 구분하였다.
7. ISOMETRIC & INNER SHOTS_BUFFER ZONES
첨부된 이미지는 아이소메트릭에 표시된 사람의 버퍼존에서의 시야 혹은 버퍼존을 바라 보는 시야를 나타낸다. B1F 작업실과 스튜디오 사이에 썬큰을 둬서 소음이나 시선에 방해받지 않고 사진가가 개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했다. 1F = 건물 전체의 버퍼존 스튜디오의 공적 공간과 주택의 사적 공간에 용도가 정의되지 않은 공간을 끼워 넣음으로써 이질적인 기능 사이를 보완하려 했다. 영업 시간일 때는 사진가의 작품 전시나 플라워 플리마켓 등이 열릴 수 있는 가변적인 공간이고 벤치나 조경을 둠으로써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영업 시간이 끝나면 건물의 입구에 가드를 쳐서 가족만의 마당이 되는 사적인 공간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2F 대지가 주변 건물과 상당히 가깝게 붙어 있어 외부로는 창문을 최소화하고 중정을 두었다. 3F 자녀 방 사이에 드레스룸 겸 여러 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빈 공간, 자녀방과 안방 사이에는 외부공간인 테라스를 두어 각자의 독립성을 지킬 수 있으면서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연결 공간을 의도하였다.
8. FINAL PRESENTATION
9. FINAL PANEL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현예림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