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Tessellation을 주제로 자신만의 DCube를 탐구하고 제작했다. 라이노에서 구현한 매스를 직접 종이로 만들어보았으며, 3D 프린터로 출력한 결과물을 받았다(비대면 수업).
DCube에 대한 강의를 듣고 가장 처음에 구상했던 모듈의 모습이다. 100*100mm 사이즈의 정육면체에서 빨간색 매스를 더하고 빼서 만든 것이다. 각각 피라미드, 작은 정육면체, 반구, 사각뿔을 이용했다. 하나의 모듈을 완성한 뒤 여러 개가 모여 있을 때의 느낌을 보기 위해 x, y, z축으로 5개씩 결합시켰다.
이처럼 처음 진행한 스터디는 모듈이나 결합체 모두 박스의 형태가 유지되어 보였다. 보다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내기 위해 다른 방향으로 모듈을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정육면체에서 시작했으나 사각형의 이미지를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더하고 빼는 데 사용되는 매스의 사이즈를 키웠다. 또한 정육면체의 각 면이 부각되지 않도록 곡면이나 사선, 비대칭으로 잘라냈다.
같은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이다.
같은 모듈의 전개도이다. 세 번째 모듈의 경우 라이노에서 UnrollSrf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각 면이 겹치면서 불완전한 전개도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전개도를 출력해 실제로 모듈을 제작해보았다. 100*100mm 사이즈로 출력했더니 생각보다 사이즈가 커서 테이프를 꼼꼼히 붙이지 않은 부분은 모서리가 조금씩 뜨는 현상이 발생했다. 직접 만들어보니 라이노에서 보는 것과는 또다른 느낌이었다.
최종적으로 발전시킬 모듈로는 두 번째 옵션을 택했다. A4용지보다 두꺼운 도화지를 이용해 다시 제작해보았다. 각각 다른 시야로 본 모습이다.
선택한 모듈이 형성된 과정이다. 분홍색은 기본 박스에서 빼낸 부분, 파란색은 더한 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솔리드한 것과 라인만 있는 것으로 나누어 표현해 서로 비교해볼 수 있도록 했다.
해당 모듈 여섯개가 빈 틈 없이 결합되어 있는 모습이다. 모듈에서 볼 수 있었던 뾰족한 부분과 평평한 부분을 결합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이어그램 패널이다. 선택한 모듈이 결합되었을 때 위와 앞, 오른쪽에서 각각 어떠한 뷰를 가지는지를 표현했다. 마찬가지로 분홍색은 기본 박스에서 빼낸 부분, 파란색은 더한 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최종 패널1이다. 박스 형태에서 시작해 더하고 빼는 규칙과 완성된 모듈이 결합되어 하나의 모델을 만드는 과정을 담아냈다. 피드백을 반영해 패널의 귀퉁이의 텍스트 밝기를 낮춤으로써 위계가 분명히 보이도록 했다. 또한 렌더링된 모델에서 유닛 하나를 읽어낼 수 있도록 노란색 라인을 추가했다.
최종 패널2이다. 패널1에서 만들어진 결합체가 어떻게 건축적 스케일로 확장되는지를 표현했다. 사람과 나무를 넣어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조명이 비치는 부분은 실내공간에서 실외로 나오는 출입구를 상상한 것이다. 유닛이 들어가고 튀어나온 부분이 결합체에서도 유지된 것을 볼 수 있다. 미술관이나 갤러리, 복합문화센터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김가연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