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1에서 큐브 세개를 큐브의 한변을 공유하는 삼각형 4개로 분할한 뒤 이 삼각형을 이용해 다시 사각형의 형태를 만들어내며 높이 차이를 두어 나선형 형태의 매스 모델을 완성하였다
또한 각 공간의 높이가 다른것을 이용하여 각층의 높이를 달리하여 내부에서도 나선형의 형태가 느껴지면서 시선이 이어지도록 층을 나누었다.
[배치도]
1차 과제 발표시 "공간이라기 보다 동선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것 같다"와 "장식적인 요소가 너무 많아 인위적인 느낌이 든다"라는 지적 받았던 점을 Develop하기 위해 대지 배치에 있어 3가지에 중점을 두었다.
1.가장 낮은 층과 가장 높은 층의 높이 차가 괸장히 큰 모델이였기 때문에 이 높이차를 극복할 것.
2.각층의 높이가 다른것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
3.인위적인 모습을 충분히 커버할수 있을 만큼 인공적인 공간일 것
이 세가지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고층과 치하층을 이을 수 있는 경사가 필요했으며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곳이 필요하다라고 판단했다.
위의 조건을 바탕으로 시립대 내의 대지 조사를 통해 경사가 크면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법학관의 외부 계단 옆 화단을 사이트로 정하였다.
[200:1 대지 모형 위]
[200;1 대지 모형 앞]
계단이라는 사이트의 위가 아닌 계단 옆을 파내려 모델을 위치 시켰기 때문에 배치도만으로는 모델이 계단에 어떻게 위치한 것인지 표현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모델의 배치를 정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제작한 모형이다.또한 배치도 상에서는 불필요하여 생략 되었던 화단을 재현하여 배치도가 좀더 잘 읽히도록 유도하였다.
[대지 배치 콜라주]
사이트에 모델을 배치 시킬때는 모델을 계단위에 올리는것이 아닌 계단을 파내어 모델을 위치시켜 지상과 건물의 2층 3층을 연결하는 큰 계단의 높이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대지배치를 통해 굳이 올라갈 필요없는 최상부의 공간이 길이자 내부공간으로 만들어지며 각 층의 높이가 다른것을 통해 연결되었던 옥상부가 통로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50:1 대지 모형]
콜러주에서 보이지 않는 반대측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모델의 아래에는 실제 위치하고 있는 웰니스라는 실제 지하의 공간을 재현하여 사이트의 특징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최하층 평면도]
대지배치 후 건물에 들어갈 프로그램에서 역시 사이트의 특징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선정한 사이트는 제1의 공간인 법학건물과 웰니스라는 제3의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일과 운동 사이의 경계를 활용한 제3의 공간을 구상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제3의 공간에 들어올 프로그램으로는 요가와 아로마 테라피를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요가와 아로마 테라피는 공부와 운동 사이에 위치한 활동인 스트레칭과 휴식이라는 큰 주제에 속해 법학관과 웰니스 양쪽 어느 공간의 사람이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것과 위 두 프로그램의 경우 꼭 필요한 부피가 큰 가구가 거의 없어 넓지 않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가구 배치에 있어서는 아로마 테라피와 요가의 경우 꼭 필요한 가구 없이 이동이 가능한 도구들이 대부분이라 고정하기 보다 프리스탠딩의 형태로 배치하였다.
그 중 최하층은 가장 넓은 공간으로 시팅 요가처럼 위치를 옮겨가며 하는 활동과 답답하지 않으면서 약간의 개인공간을 필요로하는 아로마 테라피를 구성하여 가구를 통해 자신의 공간을 만들 수 있데 차단된듯한 느낌이 나지 않도록 하였고 여독을 풀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최하층 평면도의 건물 외부는 사이트를 표현하기 위해 깎아낸 계단은 옅은 회색으로, 건물의 옆면을 파묻은 계단은 짙은 회색으로 표현하였다.
[중층 평면도]
중층 평면도는 계단참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경사도가 아닌 계단으로 변경하였고 입면의 사각보이드의 형태를 변형하였다.
중층의 가구 배치는
좌측의 삼각형의 공간의 경우 공간이 협소하고 이동통로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으므로 이동시간이 짧은 것을 고려하여 쉽게 휴식을 할 수 있는 좌훈기와 도움이나 준비물없이 간단히 스트레칭 할 수 있는 기구요가의 기구를 설치하였다.
우측의 계단식 공간 또한 공간의 협소함과 이동통로의 일부라는 점을 고려하면서 계단식이라는 특징을 살릴수 있도록 별도의 가구를 설치하는 것이아닌 계단식 자체를 활용한 족욕탕을 설치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상층 평면도]
최상층의 경우 2,3층을 이어주는 계단과 건물을 이어주는 입구로서 통로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최소한의 가구만을 배치하였다.
또한 최상층과 이어벼 내-외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루프탑역시 통로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 수준의 최소한의 가구나 이동이 가능한 도구만을 배치하였다.
최상층 평면도에 나타나 해칭중 건물 외부에 있는 것은 계단을 표현한 것이며 건물 내부에 있는 것은 박공지붕을 표현한 것이다.
[단면도]
단면도는 사이트의 특징과 내외부가 잘 구분되도록 표현하였다.
옅은 회색의 해칭으로 건물이 파묻힌 사이트를 보여주었고 하늘색의 해칭을 사용해 외부 공간을 표현하였다.
단면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중층의 경우 가장 큰공간이 내부가 아닌 외부공간으로 구성하여 답답한 건물 내에서 벗어나 외부에서 휴식을 취하면서도 공개된 공간이 아니라는 느낌이 들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일과 공부 또는 운동에 지친 사람들의 휴식의 공간이자 벗어난 별도이면서도 이어진 공간이 되었다.
[최하층 입구 쪽]
[최하층 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