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공간을 통해 긴장감을 표현하려 하였으며 변주와 반전을 주로 이용하였다.
우선 큐브를 배치할 때 서로 겹치는 정도를 모두 다르게 해서(첫 번째 큐브와 두 번째 큐브는 한 변의 ⅚만큼 겹치며 두 번째와 세 번째 는 가로로 ½, 세로로 ⅔만큼 겹친다) 공간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싶었다(1~3). 그리고 첫 번째와 두 번째 큐브 사이에는 좁은 곡면을 넣었으며 두 번째 큐브에는 공간을 관통하는 거대한 관을 설치하여 적절한 긴장감과 위압감을 주고자 했다(4~5). 마지막으로 외부에서는 이러한 곡선을 쉽게 보지 못하도록 가벽을 세워 시야를 차단했다(6).
75:1 액소노매트릭 곡면을 강조하기 위해 두 매스 사이의 공간을 벌렸다.
1층 평면도 동선이 직각으로 꺽일 때마다 복도의 폭이 변한다.
지붕 평면도 시야를 차단하기 위해 세운 외벽에는 천장을 설치하지 않았다. 건물 안이지만 실내라고는 할 수 없는 애매한 공간이며 미로와 같은 느낌을 의도했다.
입면도
단면도 두 번째 큐브 내부의 절반 이상을 곡면인 관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무게감과 위압감을 표현하고 싶었다.
건물을 앞에서 본 모습이다. 일반적인 주택과 같은 파사드를 의도했으며 곡면이 강조되는 내부와 대비된다. 계단참의 문구멍이나 옆의 가벽 사이의 틈을 통해 곡선의 일부가 보이며 이것은 외부와 대비되는 내부의 모습에 대한 일종의 복선으로 작용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조홍래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uosarch.ac.kr., Some rights reserved.
고장 및 불편 신고